미국 금 ETF 추천 IAU, GLD 수수료 세금
최근에는 헤지 수단과 포트폴리오 분산투자 중 하나로 금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골드바, 금펀드, 금 현물 통장, 금 ETF 이렇게 네 가지 금 투자 방법이 대표적인데요. 이 중에서도 금 ETF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금 ETF 란?
보통 금 실물 가격은 주가와 반대로, 채권과는 비슷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분산투자 수단 중 하나로 채권이나 금을 사는 것입니다.
물론 안전한 자산의 성격을 띤다는 것이지 원금 보장이 된다는 의미는 아니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금 투자 방법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금 ETF 투자는 가장 편하고 쉬운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실물금을 소유하지 않고도 비슷한 이점을 누릴 수 있는데요.
방법 또한 주식계좌만 있으면 주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사고팔 수가 있습니다.
금 ETF 추천
미국 금 ETF
국내 금 ETF가 대부분 금 선물에 투자하는 것과 달리 미국 금 EFT는 대부분 영국 원자재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금 실물 가격을 추종합니다.
금실물 투자 비중이 100%이기 때문에 금 가격과 거의 동일하게 움직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으로 GLD와 IAU가 있습니다.
2021.06.28 기준 | GLD | IAU |
---|---|---|
분류 | 금 ETF | 금 ETF |
주요편입종목 | 금실물100% | 금실물100% |
운용사 | State Street | Blackrock |
운용보수 (수수료) | 0.40% | 0.25% |
자산규모 | $60.06B | $29.08B |
평균거래량 (최근45일) | $1.51B | $388.64M |
상장일 | 05년1월 | 04년11월 | 금 실물 투자
배당수익률 (최근12개월) | - | - |
배당지급주기 | - | - |
현재주가 | 166.59 | 33.88 |
GLD와 IAU 모두 동일하게 금 실물에 100% 투자하는 상품인데요. 자산규모는 클수록 좋은데 GLD이 600억 달러 IAU이 290억 달러 정도로 GLD가 약 두 배입니다. 45일간 평균 금 실물 투자 거래량도 GLD가 더 많습니다.
하지만 운용보수와 주가가 GLD보다 IAU가 저렴하기 때문에 접근성은 IAU가 더 높아 보입니다.
두 금 ETF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본인의 취향에 따라 결정해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네요.
금 ETF 레버리지
2배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미국 금 ETF 레버리지 두 종목입니다.
두 가지 모두 단기 투자에 적합하고 장기 보유할 경우 2배 레버리지 효과는 감소하는데요.
수수료는 DGP가 낮지만 운용자산이나 거래량은 UGL이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2021.06.28 기준 | UGL | DGP |
---|---|---|
레버리지 | 2배 | 2배 |
분류 | 금 ETF | 금 ETF |
주요편입종목 | 금선물 | 금선물 |
운용사 | ProShares | Deutsche Bank |
운용보수 (수수료) | 0.95% | 0.75% |
자산규모 | $226.49M | $101.92M |
평균거래량 (최근45일) | $8.87M | $580.56K |
상장일 | 08년12월 | 08년2월 |
배당수익률 (최근12개월) | - | - |
배당지급주기 | - | - |
현재주가 | 57.8 | 37.76 |
세금 및 수수료
수수료의 경우 기본적으로 해외 투자이기 때문에 해외 주식과 동일하게 해외 주식 수수료와 원화 환전수수료가 금 실물 투자 금 실물 투자 발생하는 점은 해외 주식과 동일하고 추가로 ETF의 운용보수가 발생합니다.
세금은 미국의 금 ETF에 투자하게 되면 해외 주식과 동일하게 연 250만 원이 넘는 금액에 대해 양도소득세 22%가 과세됩니다.
수수료 : 해외주식 수수료 +원화환전수수료+ETF운용보수
세금 : 연간 250만원 초과소득에 대해 22%
국내 금 ETF에 투자하면 금값 상승분이 배당소득세로 과세 됩니다. 이때 배당소득세 세율은 15.4%(지방 소득세 포함)로 미국 ETF 투자 세금보다 낮지만 2000만 금 실물 투자 원이 넘어가면 금융 종합소득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최고 소득세율 46.4%가 적용되는 누진 과세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ETF는 단일세율을 적용받지 때문에 누진과세 대상이 되지 않아 투자금액이 많은 분들이 금 ETF 투자를 할 때는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금값이 하락한다면 달러는 반대로 올라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금값이 떨어질 때 원화로 환전하게 되면 환차익을 통한 수익률을 방어할 수도 있습니다.
금 실물 투자
우리는 실물투자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물론 이 글을 찾아오신 분들은 이미 관심이 있으셔서 들어오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실물투자에는 금, 부동산 등 우리 눈에 보이는 것들에 대한 투자이며 이러한 것들의 특징은 종이화폐와는 달리 화폐의 기능 외에 실제 고유의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소멸되지도 않죠.
미국의 통화량
COVID-19에 의한 경기침체로 미국은 무제한 양적완화로 경기부양책을 쓰고 이에 따라 엄청난 액수의 돈을 찍어냈습니다. 이미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막대한 돈을 찍어낸 상태에서 이번에는 더 많은 양의 돈을 만들어 냈습니다.(이때만 해도 통화량 증가에 의한 인플레이션에 대해 엄청난 걱정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2010년 통화량은 위 그래프로 보시면 아시겠지만 지금에 비하면 한참 작아 보입니다.
전 세계 기준 통화인 달러를 많이 찍어내면 다른 나라들은 자국 화폐의 급격한 절상을 막아야 하므로 마찬가지로 돈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이때 돈을 만든다는 것은 종이 화폐를 화폐 공사에서 만든다는 의미보다는 컴퓨터 숫자에 불과한 돈의 액수에 '0'을 늘리면 되는 아주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되는 것입니다. 전 세계 많은 나라는 이번 코로나 사태와 관련하여 돈을 많이 찍어냈습니다.
쉽게 이해를 돕고자 비유를 한다면 우리 주위에 금이 길바닥에 떨어져 있을 만큼 흔하다고 하면 과연 금이 지금처럼 가치가 있을까요? 돈 자체가 많아지면 돈은 그만큼 가치가 떨어집니다. 이건 원래 이렇습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좋고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그러나 급격하다면 문제가 될 수 있죠. 극단적인 예이지만 짐바브웨의 100조 지폐 다들 아시죠? 맥주 한잔에 2000만 달러 지폐 1000장을 3묶음 내야 한다고 합니다. 화폐가치가 너무나 떨어진다면 반대로 화폐로 살 수 있는 것들에 대한 가치는 화폐 대비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짐바브웨의 물가상승률은 2억% 까지 올랐었습니다.
그래서 돈의 금 실물 투자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우리는 실물 투자에 대해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서두가 너무 길었습니다. (사실 관련해서는 훨씬 더 긴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은 금 투자에 대해 정리합니다.
전세계 금 보유량(166,500톤) 생각보다 적지 않습니까?
금 투자는 6가지가 있습니다. 여러 장단점과 수수료가 다르니 모든 방법을 검토하시고 본인 성향과 계획에 맞는 수단으로 알아보세요.
1. 투자 방법 6가지
- 한국 금 거래소나 동네 금은방에서 실물 금(골드바 등)을 사는 것입니다.
- 우리은행, KB은행, 신한은행 등 골드뱅킹에 가입하여 0.01g 단위로 사는 것입니다. 잔액은 일반 예금통장과 달리 금의 g수로 표시됩니다.
KB골드뱅킹 상품안내 ( 개인뱅킹 | 금융상품 | 골드 | KB골드뱅킹 | KB골드뱅킹 상품안내 )
[가정] ① 금가격 1,260 USD/트로이온스, ② 환율 1,085원/USD 기준가격 ⓐ : 1,260① × 1,085② ÷ 31.1034768 = 43,953.28원/gram 수 수 료 ⓑ : 43,953.28 ⓐ × 1% = 439.53원/×(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 절사) 매입가격 (
- 주로 금 자체에 대한 투자라기보다는 금을 채굴하는 업체나 금과 다른 광물들이 혼합된 형태의 상품에 대한 투자입니다.
단축코드란,자산운용협회가 모든 집합투자기구에 부여하는 표준코드 중 유일성이 부여된 5자리 코드를 말한다. 1996년을 기점으로 운용 중이거나 신규로 설정되는 모든 간접투자기구에 표준코
- 증권계좌를 만들고 주식앱이나 HTS를 통해 주식처럼 투자하게 됩니다. 금 현물에 대한 시세 추종 지수로 등락하게 되며 레버리지(2배) 투자도 가능합니다. 물론 레버리지 투자는 오를 때도 2배이지만 떨어질 때도 2배로 떨어집니다. 그리고 인버스 상품도 있습니다.(인버스는 떨어질 것이라 예측하는 경우 투자방법)
운용사가 만들면 ETF라 하고, 증권사가 만들면 ETN이라 하므로 둘 다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삼성 레버리지 금 선물 ETN(H)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 기본적으로 국내 금 ETF와 같지만 해외주식처럼 해외주식계좌를 통해 원화 -> 달러화로 환전 후 금을 살 수 있습니다.
Bringing the gold market to investors > SPDR Gold Shares (GLD). Bringing the gold market to investors
SPDR® Gold Shares (GLD) offer investors an innovative, relatively cost efficient and secure way to access the gold market. An initiative of the World Gold Trust Services.
- 한국거래소(KRX)를 통해 금 현물에 투자합니다. 계좌 개설 후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합니다.
Market | 시장 안내 | 일반상품 | 금시장 | KRX금시장 투자 및 참여방법
구분 | 실물투자 | 골드뱅킹 | 금 펀드 | (국내)금 ETF | (미국)금 ETF | KRX 금 현물 |
매수 대상 | 금 현물(골드바) | 금 현물 | 주식, 선물 | 주식, 선물 (ETF, ETN) | SPDR Gold Shares iShares Gold Trust | 금 현물 |
매수 방법 | 한국금거래소 금은방 등 | 은행 | 은행, 증권사 | 증권사, 운용사 | 증권사 | 증권사 |
세금 | 비과세 | 매도시 차익의 배당소득세 (15.4%) | 매도시 차익의 배당소득세 (15.4%) | 매도시 차익의 배당소득세 (15.4%) | 연 단위 250이상 수익실현 시 양도세 (22%) | 비과세 |
장점 | 실물 소유 | 편의성 | 수익성 | 레버리지가능 인버스 가능 1%미만 수수료 | 낮은 수수료 달러보유효과 ( 환햇지 ) | 소액 가능 수수료 약 0.2% |
단점 | 부가가치세 10% 수수료 5% | 수수료 약 1% | 변동성 | 달러 환전수수료 추가 | 적은 거래량 | |
비고 | 분실 위험 팔기 귀찮아서 장기투자가 가능함 | 현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 주1) | 환율 변동 금자체에 대한 투자와는 수익률이 다름 | 쉬운 매매 펀드보다 저렴한 가격 | 금 실물 투자 현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 주1) |
☞ 주1) 증권이나 통장의 금을 실제 금 실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단 이때 10%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단순 투자용도로 매매하시는 분은 해당 없습니다.
- 실물 즉 손에 직접 쥐고 보면서 모아가는 재미를 느끼고 싶으신 분들은 작은 금고 하나 사셔서 실물투자 추천드립니다.
가장 재미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단, 부가가치세+수수료 15%를 선납하므로 15% 이상 올라야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상품의 배당소득세(15.4%)는 차익의 15.4%입니다.
- 실물 필요 없으신 분들은 골드뱅킹이나 KRX 금 현물 추천드립니다. 이 중 KRX가 비과세이므로 세금에서 유리하며 단 적은 거래량으로 팔고 싶을 때 못 파는 경우가 있을 수는 있으나 최근 거래량이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고 매우 많은 양을 사지 않는 이상 못 파는 상황은 드물지 않을까 합니다.
- 금 펀드는 금 자체에 대한 투자랑은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아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 국내 ETF는 레버리지, 인버스 등 약간의 불안정한 모험을 하시게 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아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금 실물 투자
- 미국 ETF는 달러 보유 효과로 인해 환햇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그에 따라 환전수수료가 추가되므로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직장인 경제 공부 - 금 투자 방법
이번 투자 방법 역시 제가 즐겨보는 유투버 박곰희TV채널에 나와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영상이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1. 금투자는 왜할까?
달러와 금은 주로 안전 자산 이라고 불립니다.
금융 위기가 왔을 때 그 가격이 올라갈 수 있으며, 특히 금의 경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우상향하게 됩니다.
금 투자는 크게 나누면 실물 투자와 전산상으로 증권을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실물 투자가 아닌 우리가 핸드폰 또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사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그렇다면 둘 다 안전 자산인데 금과 달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우선 둘 다 안전 자산이기 때문에 그 가치가 훼손되지 않고 보존이 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달러는 금 실물 투자 절대 가치가 아닌 상대 가치이며 가지고 있는 동안 이자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금은 달러와 같이 어디에 맡겨둔다고 수익을 얻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금은 절대 가치를 추구합니다. 또한 올라서 차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금 투자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금 투자 방법
1. 실물
실물을 보유하게 되면 출고, 보완, 배송 모두 다 돈이 듭니다. 즉 안전할 수는 있지만 어느 정도의 비용은 감수해야 합니다.
2. 골드뱅킹
은행에서 골드 뱅킹을 하는 방법으로 금 통장이라고 불립니다. 실물거래 없이 자유롭게 금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요. 은행에 가서 골드 뱅킹이라는 계좌를 개설하고 금을 1g씩 사서 담는 방법입니다. 금을 사고 팔 때마다 수수료가 나가는 것도 있고 나가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그리고 차익으로 인해서 이익을 봤을 때 15.4%의 소득세도 내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금융 상품을 봐야겠지만 계좌에 돈을 입금하게 되면 은행이 입금액에 해당하는 금을 금 무게로 환산해서 적립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아래는 저랑 전혀 관련 없는 그냥 인터넷에 골드 뱅킹이라고 검색했을 때 나오는 상품들입니다. 이런 것들이 있구나 라고 그냥 보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 | ![]() |
우리 은행 골드뱅킹 상품 | 신한은행 골드 뱅킹 상품 | 금 실물 투자
3. 금펀드
증권사에 계좌 개설을 하고 금펀드를 사서 담는 것입니다.
금 가격에 투자를 하기 보다는 금을 캐는 금 실물 투자 회사들에 투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금을 캐는 회사와 금 가격이 상당히 비슷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하지만 펀드들마다 담고 있는 금 회사들이 다르거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펀드들마다 수익률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 뿐만 아니라 다른 귀금속을 생산하는 기업에도 투자를 하기 때문에 다른 귀금속 값이 떨어지게 되면 수익률이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사고 팔 때의 수수료가 있긴 하지만 높지는 않으며 펀드이기 때문에 1년에 한번정도 보수가 나가게 됩니다.
4. 국내 금ETF & 미국 ETF
주식 시장에서 금ETF를 사는 것입니다. 국제 금시세를 추종하게 되어있씁니다. 또한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환헷지가 적용된 상품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ETF를 소개하면 아래 두개가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H) -> 삼성자산운용에서 금에 투자가 되며 달러의 움직임에 상관 없이 금 가격만 추종을 합니다.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 한국투신운용에서 금에 투자가 되며 2배로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환율 고려 할 필요 없습니다.
ETF의 장점이라고 하면 적은 금액으로 투자 가능하며 언제든지 사고 팔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차익은 15.4%의 세금을 떼게 됩니다.
미국 ETF의 경우는 달러로 구매를 해야 합니다. 즉 내 돈을 달러로 바꿔서 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득을 많이 보면 22%의 양도세를 내야하며 매수가 국내 금 ETF보다 조금 어렵습니다.
6. KRX 금 현물
금 현물 시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것입니다. 증권사에 가서 금현물전용계좌를 열어서 KRX 금현물 시장에서 금을 1g씩 사서 매수하는 것입니다. 주식 계좌가 있으신 분들은 금현물계좌를 만들면 바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단위가 1g이기 때문에 매우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금을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을 내고 후에 실물로 출고할 수도 있습니다. 금 매매로 차익을 봐도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비과세)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