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무제표 5가지 종류 재무제표는 회사의 경영활동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성되는 보고서로서 다음과 같이 재무제표에는 5가지 종류가 포함되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1. 재무제표 5가지 종류 2. 재무 상태표란 무엇인가?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한 재무상태표이며, 현재의 모든 자산 부채 및 자본을 나타내는 정태적 보고서로서 기본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재무상태표 등식 재무상태표는 상기 그림과 같이 크게 자산, 부채 및 자본으로 구성되며 재무상태표의 차변인 자산은 기업이 조달한 자금의 활용을 나타내고 , 대변인 부채 및 자본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였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재무상태표의 부채와 자본의 합계액은 언제나 자산의 총계와 일치해야 한다. 2-1.재무제표 읽고 분석하는 방법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란 일정기간 회사의 재무상태를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기업에 투자되는 자금이 어떠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이 유리한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는 여러 가지 자산배분 ETF 활용 면에서 회사의 경영 상태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주요 분석방법을 알아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3.포괄손익계산서란 무엇인가? 손익계산서란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서 기본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손익계산서 등식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순자산의 변동원인을 보고하는 기본 재무제표이며, 일정기기간 동안의 영업활동 흐름을 나타내는 동태적 보고서이다. 3-1. 손익계산서 읽고 분석하는 방법 손익계산서 순이익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익과 비용의 주요 분석방법을 알아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4. 현금 흐름표란 무엇인가? 현금 흐름표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표로서 현금의 변동내역을 명확하게 보고하기 위하여 당해 회계기간에 해당하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 내용을 적정하게 표시하는 보고서이다. 현금 흐름표의 기본 요소는 아래 그림과 같다. 현금흐름표 기본요소 상기 현금 흐름표 기본 요소와 같이 기업의 활동은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활동별로 구분하여 보고하는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기업은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유지될 수 있지만 현금이 부족하면 도산하게 된다. 따라서 불경기에 회사의 도산 가능성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금 흐름표를 분석한는 것이 유용하다. 4-1. 현금 흐름표를 일고 분석하는 방법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의 유입(+)과 유출(-)에 따른 현금흐름 유형별 패턴 8가지 분석에 대해 살펴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5. 자본 변동표란 무엇인가 자본변동표는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어 있는 자본의 변화 내역을 자본 구성요소별로 보여주는 재무보고서이다. 자본의 종류 자본변동표에는 소유주의 투자와 소유주에 대한 분배,그리고 포괄이익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자본변동표의 기본요소 6. 주석(Footnote)란 무엇인가? 주석은 재무제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재무제표 이용자에게 유용하고 의미 있는 회계정보제공을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정보이므로 현대 기업회계의 추세는 주석공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업회계기준서의 개정에 따라 주석공시사항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된 내용을 설명하거나 재무제표에 표시되지 않은 정보 예를들면 자회사 주식과 관계회사 주식의 지분율이 얼마인지등 재무제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데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경쟁업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때에 주석란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반응형
재무 제표 종류 | 008.재무제표의 개념(재무제표의종류)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재무 제표 종류 – 008.재무제표의 개념(재무제표의종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baannapleangtha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baannapleangthai.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회계박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5회 및 좋아요 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종류 기본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의 네 가지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재무 제표 종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008.재무제표의 개념(재무제표의종류) – 재무 제표 종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회계원리 #전산회계 #두풍회계직업전문학교
#분개연습 #전산세무 #원가회계 #세무회계 #회계실무 #FAT #TAT #김현상박사
재무 제표 종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재무제표의 종류 및 구성 – 네이버 블로그
1) 대차대조표 특정시점(또는 일정시점)의 회사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 2) 손익계산서 일정기간 동안 회사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 …
Date Published: 3/28/2021
재무제표 5가지 종류 – 아이오티켐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한 재무상태표이며, 현재의 모든 자산 부채 및 자본을 나타내는 정태적 보고서로서 기본 재무제표의 …
Date Published: 10/29/2022
재무제표 종류와 의미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구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아울러서 재무제표라고 합니다.
Date Published: 6/10/2021
재무제표 종류 및 개념 :: 머니 크리에이터
재무제표 종류 및 개념 ·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inquity).
Date Published: 8/20/2021
재무제표 종류와 특징, 분석이 막막하다면 주석에서 해답찾기
재무제표는 양적정보를 주로 제공하는 ➀재무상태표, ➁포괄손익계산서, ➂자본변동표, ➃현금흐름표와 이와 관련된 보충정보를 제공하는 ➄주석, 이렇게 …
Date Published: 4/25/2021
재무제표 종류 및 핵심 구성요소 3가지: 주식 투자는 도박이 …
주식 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종류 3가지 ·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 2.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3. 현금흐름표 (statement of cash flow).
Date Published: 4/20/2021
회계 기초 공부, 재무제표의 종류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다 섯가지가 있다.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이다. 『목차 – 콘텐츠 바로가기』
Date Published: 6/25/2021
재무제표 – 나무위키
종류[편집]. 재무제표는 기업등의 경제활동 주체가 특정 시점의 경제적인 상태와 일정 기간동안 있었던 경제적 활동을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작성하는 …
Date Published: 7/4/202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재무 제표 종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008.재무제표의 개념(재무제표의종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008.재무제표의 개념(재무제표의종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재무 제표 종류
- Author: 회계박사
- Views: 조회수 135회
- Likes: 좋아요 9개
- Date Published: 2021. 8.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v89PEUxHP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재무제표(財務諸表, 영어: financial statements, financial reports)는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자산배분 ETF 활용 등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이러한 재무제표는 기업의 성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내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상장기업의 경우 이러한 재무제표들을 매년 결산기에 일반대중에게 공개하게 되어있다.
산업혁명 이후 주식회사의 등장은 자본의 거대화와 투자자들의 부의 증대를 촉진시켰다. 한편 기업은 이들 투자자들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채권자, 기업의 직원, 소비자, 공공기관 같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이해조정책임과 그 밖에 여러 가지 사회적 책임을 지게 되었는데 이를 위해 일정 기간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공시한 것이 재무제표이다.[1]
기본적인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가 있다.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며,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작성된다. 포괄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에 따라,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에 따라 작성된다.
두 개 이상의 기업이 법적으로는 서로 다른 실체이나 지배-종속 관계로 얽혀있어 경제적으로는 단일한 실체일 경우, 지배기업에서는 종속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을 포함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종류 [ 편집 ]
기본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의 네 가지가 있다. 재무상태표란 일정 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며, 포괄손익계산서란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1년 동안 기업을 경영하면서 수익이 어떻게 되고 이에 대한 비용을 얼마나 사용했으며 그 결과 어느 정도의 이익을 얻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밖에 자본변동표는 일정 기간 기업의 이익잉여금의 변동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것인데 이는 이익을 주주와 회사에게 얼마나 배분하는지를 말하는 것이다.[2]
각주 [ 편집 ]
↑ 신방수 (2011년 6월 15일). 《IFRS를 알아야 회계가 보인다》. 위너스북. ↑ 최병호 (2000년 1월 3일). 《기초회계》. 한국금융보험아카데미.
같이 보기 [ 편집 ]
재무제표의 종류 및 구성
1. 재무제표의 정의
1) 재무제표란 가정의 가계부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재무제표를 보면 회사의 재산, 부채가 얼마인
지 알 수 있습니다.
2) 즉, 재무제표란 회사의 경영 성과와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입니다.
2. 재무제표의 종류
1) 대차대조표
특정시점(또는 일정시점)의 회사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즉, 회사의 자산과 부채
가 얼마이고,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주주들이 투자한 돈은 얼마이며, 1년 동안 이익은 얼마나 발생
해서 어떻게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손익계산서
일정기간 동안 회사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즉, 1년 동안 회사가 벌어 들인 수익
을 위해 지출한 비용과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하고 남은 순이익을 알 수 있습니다.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의 처분사항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무제표이며 “결손금 처리계산서”라고도 합니다.
4) 현금흐름표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나타내는 제무제표입니다. 상기 3가지의 제무제표와는
달리 철처하게 현금 중심으로 수익이나 비용보다는 현금의 유입,유출을 작성합니다. 간단하게 말
하자면 회사의 돈이 무엇에 의하여 증감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5) 자본변동표
자본의 크기와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재무제표로서 자본을 구성하는 자본금과 자본잉여
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의 변동사항을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나타냅니다.
*회계기록의 흐름
3. 재무제표상의 주기와 주석
1) 주기: 해당 계정과목 다음에 회계 사실의 내용을 간단한 자구나 수로 괄호안에 표시한 것
2) 주석: 해당 과목이나 금액에기호를 붙여 별지 등에 동일한 기호를 쓴 후 내용을 기재한 것
재무제표 5가지 종류
반응형
재무제표 5가지 종류
재무제표는 회사의 경영활동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성되는 보고서로서 다음과 같이 재무제표에는 5가지 종류가 포함되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1. 재무제표 5가지 종류
2. 재무 상태표란 무엇인가?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한 재무상태표이며, 현재의 모든 자산 부채 및 자본을 나타내는 정태적 보고서로서 기본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재무상태표 등식
재무상태표는 상기 그림과 같이 크게 자산, 부채 및 자본으로 구성되며 재무상태표의 차변인 자산은 기업이 조달한 자금의 활용을 나타내고 , 대변인 부채 및 자본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였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재무상태표의 부채와 자본의 합계액은 언제나 자산의 총계와 일치해야 한다.
2-1.재무제표 읽고 분석하는 방법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란 일정기간 회사의 재무상태를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기업에 투자되는 자금이 어떠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이 유리한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는 여러 가지 면에서 회사의 경영 상태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주요 분석방법을 알아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3.포괄손익계산서란 무엇인가?
손익계산서란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서 기본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손익계산서 등식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순자산의 변동원인을 보고하는 기본 재무제표이며,
일정기기간 동안의 영업활동 흐름을 나타내는 동태적 보고서이다.
3-1. 손익계산서 읽고 분석하는 방법
손익계산서 순이익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익과 비용의 주요 분석방법을 알아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4. 현금 흐름표란 무엇인가?
현금 흐름표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표로서 현금의 변동내역을 명확하게 보고하기 위하여 당해 회계기간에 해당하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 내용을 적정하게 표시하는 보고서이다.
현금 흐름표의 기본 요소는 아래 그림과 같다.
현금흐름표 기본요소
상기 현금 흐름표 기본 요소와 같이 기업의 활동은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활동별로 구분하여 보고하는 재무제표의 하나이다.
기업은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유지될 수 있지만 현금이 부족하면 도산하게 된다.
따라서 불경기에 회사의 도산 가능성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금 흐름표를 분석한는 것이 유용하다.
4-1. 현금 흐름표를 일고 분석하는 방법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의 유입(+)과 유출(-)에 따른 현금흐름 유형별 패턴 8가지 분석에 대해 살펴보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
5. 자본 변동표란 무엇인가
자본변동표는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어 있는 자본의 변화 내역을 자본 구성요소별로 보여주는 재무보고서이다.
자본의 종류
자본변동표에는 소유주의 투자와 소유주에 대한 분배,그리고 포괄이익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자본변동표의 기본요소
6. 주석(Footnote)란 무엇인가?
주석은 재무제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재무제표 이용자에게 유용하고 의미 있는 회계정보제공을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정보이므로 현대 기업회계의 추세는 주석공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업회계기준서의 개정에 따라 주석공시사항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된 내용을 설명하거나 재무제표에 표시되지 않은 정보 예를들면 자회사 주식과 관계회사 주식의 지분율이 얼마인지등 재무제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데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경쟁업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때에 주석란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반응형
머니 크리에이터 머니 크리에이터
재무제표 정의
재무제표란?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성과와 같은 지표를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맞게 체계적인 방법으로 표현한 재무보고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국제회계기준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를 따르고 있습니다.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에서 공표한 회계기준입니다.
재무제표의 목적
해당기업의 유용한 재무상태 및 성과, 재무상태변동과 관련한 정보를 광범위한 정보이용자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해 쓰입니다.
재무제표 종류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로 구성됩니다.
재무제표 종류 및 개념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예전에는 대차대조표라는 말로 쓰였습니다. 최근에는 재무상태표라고 합니다. 재무상태표는 일정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 자본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에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이 나타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크게 ‘기업의 명칭’, ‘재무제표 명칭 및 재무상태표의 기준일이 되는 날짜’, ‘자산항목’, ‘부채항목’, ‘자본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재무상태등식 자산(기업의 자원) = 부채(채권자 지분) + 자본(소유주 지분)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회계기간)동안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보고서입니다. 재화 또는 용역의 판매, 제공에 따른 수익창출 활동을 금액으로 표시해 주게 됩니다.
손익계산서에는 ‘수익’ 항목과 ‘비용’ 항목이 나타나 있으며 각각 세부적인 유형으로 구분하여 명기하게 됩니다. (매출수익, 이자수익, 배당수익 등등)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inquity)
자본변동표는 기업 자본이 일정기간동안 어떻게 변동되었는지 대한 내용을 상세히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보통 납입자본은 자본금(주식의 액면금액)+주식발행초과금(액면금액을 초과하는 금액) 입니다. 경영활동에 따른 이익잉여금은 자본의 증가를 만듭니다. 주주 배당금은 반대로 이익잉여금의 감소를 만듭니다.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
현금흐름표는 일정회계기간동안 기업의 현금흐름 변동을 보여줍니다. 기업의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에 의한 것입니다.
영업활동은 재화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창출활동입니다. 투자활동은 영업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산을 취득하거나 처분하는 행위입니다. 재무활동은 투자자나 채권자로부터 자금을 조달, 상환하는 활동입니다.
이런 활동에 따른 기업의 현금 증감을 명기한 보고서가 현금흐름표입니다.
맺음말
재무제표는 기업 자체적으로 경영실적 및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관리회계도 있지만 이 기업의 실적 및 상태를 이용하여 투자를 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및 정부에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보고서입니다.
어느 한 기업을 이해하기 위해선 재무제표를 봐야 합니다. 재무제표를 볼 줄 아는 눈을 기르는 것은 기업을 이해하는 수단을 가지게 되는 일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재무제표 종류 및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무제표 종류와 특징, 분석이 막막하다면 주석에서 해답찾기
재무상태표만 확인하고 계셨나요? 다른 재무제표도 같이 보세요
재무제표 5가지 종류와 특징을 먼저 확인하고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제표의 종류와 특징
재무제표는 양적정보를 주로 제공하는 ➀재무상태표, ➁포괄손익계산서, ➂자본변동표, ➃현금흐름표와 이와 관련된 보충정보를 제공하는 ➄주석, 이렇게 총 5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 현재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산, 부채, 자본의 규모와 그 구성내용, 금액정보를 알고 싶다면 재무상태표를 확인하면 됩니다.
2. 포괄손익계산서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수익과 비용의 항목별 내역을 알 수 있으므로, 매출과 순이익 산출 과정 등 경영성과가 궁금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자본변동표
배당, 증자 등 자산배분 ETF 활용 일정 기간 동안 자본의 각 항목(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의 변동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현금흐름표
일정 기간 동안 현금이 어떻게 조달되고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도록 현금흐름 정보를 영업, 투자, 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5. 주석
기업의 회계정책, 재무제표 작성근거, 본문에 표시되지 않는 질적 정보 등 재무제표 이해에 필요한 보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합니다.
각 재무제표는 서로 긴밀한 연관관계를 맺고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5가지 재무제표의 유기적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막막한 재무제표 숫자, 주석에서 해답을 찾아보세요.
재무제표 본문은 주로 간략한 금액 정보만 표시되는 반면, 주석에는 관련 항목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과 보충 정보를 상세하게 공시하고 있습니다.
(IFRS(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라, 주석공시사항의 항목과 분량이 확대되어 주석 정보의 분석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 )
주석은 기업의 개요, 주주 구성이나 회계정책, 지급보증 등 우발부채와 약정사항 등 재무제표 본문에 표시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다양한 정보도 포함하므로, 재무제표 분석 시 반드시 본문과 관련 주석을 함께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재무제표에서 주석이 중요한 이유 사례
B사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A씨는 B사의 최근 재무상태표를 보던 중 매출채권 잔액이 전기말보다 크게 감소한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B사의 포괄손익계산서를 통해 전기와 당기 매출액 규모가 유사한 것을 확인한 A씨는 B사의 매출채권이 전기보다 빨리 회수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재무상태표 주석
➡ A씨가 B사의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뿐만 아니라 관련된 주석을 함께 분석하였다면, B사는 매출채권 회수가 빨라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거래처의 상황이 나빠져 대손충당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매출채권 대손정보 주석) 채권액 규모는 전기말보다 증가하였으나, 매출이 집중되어 있는 거래처의 부실로 인해 매출채권에 대한 회수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즉, 대손충당금이 전기말보다 증가(8,000백만원)하였고 이를 차감한 매출채권 장부금액이 감소(7,000백만원)한 것입니다.
재무재표
▶코로나 생계지원금 신청 방법
▶5차 재난지원금 코로나 백신 접종해야 받는다?
▶서울시 생계지원금 50만원 지급 대상, 신청 방법
▶해외여행 시 돈 아끼는 환전 꿀팁 모음
재무제표 종류 및 핵심 구성요소 3가지: 주식 투자는 도박이 아니다.
이 글을 꼭 읽어 봐야 하는 대상
기업 재무제표에 대해 궁금한 일반인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는 예비 자산배분 ETF 활용 투자자
재무제표의 종류와 핵심 구성요소가 궁금한 대상
주식 투자를 더 이상 도박의 도구로 사용하지 마세요.
주식 투자란 본인이 투자자인 동시에 자본가가 되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본인이 투자한 기업의 재무사항이 어떻게 돌아가야 하는지 파악이 되어야 한다.
기업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재무사항도 모른 채 그 기업의 주식을 사고파는 행위는 그저 차트나 바라보고 도박을 하는 행위와 비슷하다.
그래서 우리 주린이들은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제표를 한 번쯤은 공부하고 나서 투자해야 하는 것이다.
재무제표 구성요소 5가지
기업 재무제표는 일정 규칙에 따라 꼭 기재되어야 하는 몇 가지 회계보고서들이 첨부되어있고, 이를 재무제표 구성요소 5가지라 부른다.
재무제표 구성요소 5가지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해당 5가지를 모두 숙지하면 좋겠지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3가지만 알고 있어도 주식 투자 목적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며 지금부터 이 세 가지에 대해 설명해보려 한다.
주식 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종류 3가지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일시 시점에 자산배분 ETF 활용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 자본의 잔액에 대한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제표’
이전 글에서 재무제표가 기업의 이력서에 적는 스펙란 또는 자기소개서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재무상태표는 현재 시점에 은행에 저축한 돈이 얼마가 있고, 자동차 및 전세금은 얼마나 있는지, 마지막으로 은행에서 빌린 돈 즉 부채는 얼마가 있는지 나타내는 보고서다.
재무상태표에서 나타나는 자산, 자본, 부채 내용은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유동성 및 재무적 탄력성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대차대조표 라고도 불리었으나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이 도입되며 재무상태표로 변경되었다
재무상태표_하이브엔터테인먼트 / 출처 – 전자 공시 시스템
2.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성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모든 이익 및 손실 등의 내용을 기록한 재무제표’
손익계산서는 기업이 쓰는 가계부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업이 당해 기간 동안 제품을 판매하여 얼마만큼의 수익을 얻었고,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얼마만큼의 지출이 있었으며, 따라서 순이익은 얼마인지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보고서다.자산배분 ETF 활용
이 보고서를 통해서 투자자들은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경영 성과는 어떠한지, 계속 성장할 여력이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_하이브엔터테인먼트 / 출처 – 전자 공시 시스템
3. 현금흐름표 (statement of cash flow)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 흐름 및 변동 사항 등의 움직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재무제표’
‘현금흐름표’라는 단어만 보아선 흔히 입출금 내역서와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말 그대로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 변동 사항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해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현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차이점
– 세상 모든 기업이 오로지 현금으로만 거래를 한다면, 현금흐름표는 따로 필요가 없을 것이다. 현금흐름표의 가장 핵심은 ‘현금’ ‘cash’의 이동이다.
현금흐름표_하이브엔터테인먼트 / 출처 – 전자 공시 시스템
결론
ETF, 펀드와 같은 간접투자가 아닌 직접 주식 투자를 하려는 투자자들은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 재무제표를 자산배분 ETF 활용 자산배분 ETF 활용 확인하고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재무제표 중에서도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이 3가지를 보고 분석할 줄만 알면, 주식 투자에 있어서 더 이상 도박이나 투기가 아닌 투자를 할 수 있는 기본이 된다는 걸 명심하자.
재무제표를 비롯한 경제 공부는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며,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면 당신의 소중한 두 손에 살포시 배달된다.
주식, 직접 종목 선정하기 어렵다면?
꼭 알아두세요!
– e 쉬운 경제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독자의 투자판단을 위한 참고용일 뿐입니다.
– 해당 글은 투자 제안 및 권유 종목 추천을 위해 발행된 것은 아닙니다.
– 이 블로그는 자발적 커피 후원자 분들에 의해 운영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커피 후원 계좌: (신한은행) 110-510-530450 (권*석)
728×90
키워드에 대한 정보 재무 제표 종류
다음은 Bing에서 재무 제표 종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연금 저축 펀드 |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쉽게 따라하기 최근 답변 153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연금 저축 펀드 –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쉽게 따라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할미언니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29,026회 및 좋아요 9,87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연금 저축 펀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쉽게 따라하기 – 연금 저축 펀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지금 ‘3분’만 투자해서 자신의 미래를 바꿔보세요!
노후준비의 시작은 개인연금!
개인연금의 시작은 연금저축펀드!
모바일로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하고, ETF 매수하기까지
쉽게 따라하실 수 있는 영상입니다.
설마 아직도 증권사 직접 가시는 분들 없겠죠.
*투자 관련 제 의견을 추천 드리긴 했으나,
투자의 판단 및 선택은 본인에게 있다는 걸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한가지 추가로 말씀드릴 부분이 있는데,
QQQ, SPY, DIA 같은 미국시장 ETF 들은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매수 불가능입니다.
해외주식 매수는 아래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https://youtu.be/D9jrzt31ccs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펀드가입 #주식계좌개설
연금 저축 펀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연금저축이란? | 신한금융투자
다양한 펀드와 ETF를 하나의 계좌에서 자유롭게 운영하는 연금저축: 세제혜택도 받고,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하는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상품입니다.
Date Published: 11/25/2021
연금저축펀드 안내 – 우리은행
연금저축펀드 안내. 연금저축펀드 안내 · 연금저축펀드 비교공시 · 세제혜택 · 연금저축vs개인형IRP. 인터넷뱅킹 이용안내. 이용시간안내 · 금리조회 · 수수료안내 …
Date Published: 3/30/2022
아직도 연금저축펀드를 하지 않는다고요?
올해 들어 ‘동학개미’ ‘주린이’ 등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주식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연금 저축 시장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 …
Date Published: 3/7/2021
연금저축펀드 | 메리츠자산운용
연금저축펀드 · 연간 1800만원까지 불입 가능하며 세액공제는 물론, 과세이연, 저율과세의 다양한 세제 혜택이 있습니다. · 5년이상 납입, 55세이후 10년이상 연금형태로 …
Date Published: 12/2/2021
연금자산 – 연금저축계좌 – 미래에셋증권
연금저축계좌 특징 · 운용기간 중 발생한 운용수익에 대해 과세이연, 연금수령 시 연금소득으로 과세됩니다. · 국내 및 해외 펀드 · 당사는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
Date Published: 12/26/2022
연금저축펀드상품 – KB국민은행
인터넷뱅킹 종료 시, 안전한 금융거래를 위하여 반드시 [로그아웃] 버튼을 눌러 종료하시기 바랍니다. 로그인설정 버튼을 통해 자주 쓰는 로그인 방식을 설정해두면 더 …
Date Published: 2/8/2022
연금저축펀드 비교공시
연금저축계좌 제도개요 · 신규 시: 연금펀드 별 최저 가입금액 5만원 이상(MMF 제외) · 추가 납입 시: 연금저축계좌 기준(약정한 분배비율 선택 시) 최저 납입금액 5만원 …
Date Published: 4/2/202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연금 저축 펀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쉽게 따라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쉽게 따라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연금 저축 펀드
- Author: 할미언니
- Views: 조회수 329,026회
- Likes: 좋아요 9,873개
- Date Published: 2021. 2.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4y6R1hgvOLU
신한금융투자 [d21]
세액공제한도 연 400 만원 주1)
만원 효과 : 66만원 (52.8만원 주2) )
) 공제율 : 16.5% (13.2% 주2)) 연 700 만원
만원 효과 : 115.5만원 (92.4만원 주2) )
) 공제율 : 16.5% (13.2% 주2))
합산하여 연 700만원 한도
만 50세 이상, 2020년 ~2022년 납입분에 한하여 아래 사항을 적용 연 600만원 주1)
효과 : 99만원 (79.2만원 주2) )
) 공제율: 16.5%(13.2% 주2)) 만 50세 이상, 2020년 ~2022년 자산배분 ETF 활용 자산배분 ETF 활용 납입분에 한하여 아래 사항을 적용 연 900만원
효과 : 148.5만원 (118.8만원 주2) )
) 공제율: 16.5%(13.2% 주2))
합산하여 연 900만원 한도
납입한도
(분기한도 없음) 연 1,800 만원 연 1,800 만원
합산하여 연 1,800만원 한도
투자가능 상품 실적배당형상품(펀드)
ETF 복수상품 투자 가능 원리금보장형상품
실적배당형상품(펀드)
ETF 복수상품 투자 가능
연금수령요건 연령 : 만 55세 이상
가입기간 : 5년 이상
연금수령 최소기간 주3) : 10년(5년) 연령 : 만 55세 이상
가입기간 : 5년 이상
(단, 퇴직금이 있는 경우 만 55세부터 바로 수령 가능)
(단, 퇴직금이 있는 경우 만 55세부터 바로 수령 가능) 연금수령 최소기간 주3) : 10년(5년)
연금 지급 시 세금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 비과세
세액공제 받은 금액과 운용수익 연간 연금액이 1,200만원 이하일 경우 : 연금소득세만 부담
(연금소득세는 연령(만)에 따라 차등 부담, 70세 미만 5.5%, 80세 미만 4.4%, 80세 이상 3.3%) 연간 연금액이 1,200만원 초과일 경우 : 종합소득 합산 과세
IRP 이연 퇴직소득 퇴직금: 과세 이연된 퇴직 소득세의 70% (종합 소득과 합산되지 않음)
일시금 지급 시 세금 세액공제받지 않은 금액 : 비과세
세액공제받은 금액과 운용수익 : 기타소득세 16.5% (부득이한 경우 주4) ) 연금소득세만 부담)
) 연금소득세만 부담) IRP 이연 퇴직소득 퇴직금 : 과세 이연된 퇴직소득세의 100% (종합소득과 합산되지 않음)
[50+포탈]아직도 연금저축펀드를 하지 않는다고요?
올해 들어 ‘동학개미’ ‘주린이’ 등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주식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연금 저축 시장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이 그것이다.
금저축계좌를 가진 이들의 70~80%가 연금저축보험에 들 정도로 연금저축 시장에서 보험이 압도적이었지만 최근 낮은 수익률로 인해 연금저축펀드로 갈아타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계약을 해지하지 않고도 펀드로 이전하는 게 가능해진 것도 이런 변화를 이끌었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세액공제 혜택을 보기 위해 연금저축펀드 가입자가 늘면서 당분간 이런 행렬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연금저축펀드의 매력
연금저축펀드가 연금저축보험에 비해 좋은 점 두 가지를 꼽으라면 보험에 비해 낮은 사업비, 그리고 높은 수익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보다 더 매력적인 장점이 있다. 연금저축보험과 달리 연금저축펀드는 개인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투자가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투자를 쉴 수도 있다.
연금저축펀드는 매일 혹은 매월 특정 날짜를 선택하여 투자하는 적립식과 여유 자금을 일시적으로 납입하는 임의식 모두 가능하다. 연말 세액공제 혜택을 받고자 연금저축펀드 가입자가 몰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것은 보험에 없는 장점이다. 특히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일하면서 경제 상황에 민감한 젊은 세대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이다.
연금저축펀드는 세액공제 혜택만 있는 게 아니다. 납입한도는 연 1800만 원이고 그 중 세액공제 혜택은 연 400만 원까지다. 그렇다고 나머지 1400만 원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이 없는 것이 아니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납입금에 대해선 나중에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를 내지 않는다. 세금이 전혀 붙지 않는 돈이 되는 셈이다.
일반적인 펀드를 통해 수익이 발생 할 경우 이 수익에 대해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야 한다. 그런데 연금저축펀드의 수익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를 물지 않는다. 연금 수령 시에 내면 되는 것. 이마저도 15.4%를 모두 내는 게 아니라, 3.3~5.5%만 내면 된다. 세금 낼 돈을 계속 투자 할 수 있는 것이라 복리효과를 누리는 셈이다.
55세 이상은 가입할 수 없다고?
연금저축펀드에 대한 많은 오해 중 하나가 55세 이상은 가입 못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다. 55세가 넘는 사람도 가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납입기간 5년 이상을 채워야 한다는 조건만 채우면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 오히려 55세 이상이 적극 활용하면 더 좋다. 2022년 말까지 50세 이상은 세액공제 대상이 200만 원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연금저축펀드는 수령 시기를 늦출수록 연금소득세가 낮아지므로 이 점을 잘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주식을 해본 적이 없어서 연금저축펀드를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모른다면 우선, 두 가지만 기억하자.
첫째, 펀드를 매수하려고 해도 분석해야 할 게 너무 많아 부담스럽다면 ETF를 사는 게 좋다. ETF는 관심 있는 시장만 보는 것이고, 개별 종목을 들여다보는 게 아니기에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쉽다. 그리고 국내주식형ETF는 연금저축펀드에서 매매하지 않는 게 좋다. 국내주식만 들어있는 ETF는 원래 비과세이므로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를 내는 꼴이 된다.
두 번째, 자산배분을 하고 싶으나 어렵다면 TDF를 하면 된다. TDF는 은퇴 시점에 맞춰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펀드다.
바야흐로 개인들이 투자를 위해 개별 종목들을 속속들이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으로 투자가 변하고 있다. 더더구나 노후준비를 위해 연금저축펀드를 마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및 원고 출처 : 신한 미래설계포유]
연간 세액공제 한도액에 대해 최대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 5,500만원 이하 기준)
주1) 16.5% 세액공제 가능 주1) 총급여 5,500만원 초과 근로소득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초과인 거주자는 세액공제율 13.2% 세액공제 가능 연간 납입액 기준 900만원 한도로 최대16.5% 세액공제 가능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데이터표 종합소득금액
(총 급여액) 공제한도
(주2 ISA 만기 전환 포함) 세액
공제율 50세 미만 주3 50세 이상 4천만원 이하
(5.5천만원 이하) 400만원
(700만원) 600만원
(900만원) 16.5% 1억원 이하
(1.2억원 이하) 13.2% 1억원 초과
(1.2억원 초과) 300만원
(600만원)
연금저축펀드 비교공시
상품 특징 소득세법에서 정한 연금수령요건에 따라 자금을 인출하는 경우 연금소득으로 과세되는 상품으로, 연간 최대 400만원한도(자산배분 ETF 활용 단, 총급여 1억2천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1억원 초과자는 300만원) 내 납입액의 12%(요건에 따라 15%) 세액공제 가능
계약을 중도에 해지하거나 연금수령 이외의 방식으로 자금을 인출하는 경우(연금수령한도를 초과한 인출 포함) 기타소득세 발생으로 세제상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가입대상 국내거주자
가입금액 신규 시: 연금펀드 별 최저 가입금액 5만원 이상(MMF 제외)
추가 납입 시: 연금저축계좌 기준(약정한 분배비율 선택 시) 최저 납입금액 5만원 이상
연금펀드 기준(고객 지정 선택 시) 연금펀드 별 최저 납입금액 1만원 이상
납입한도 전 금융기관 합산 연 1,800만원 이내 (퇴직연금계좌 및 연금저축계좌 포함)
적립기간 5년
연금수령 요건 5년 이상 납입 & 만55세 이후 연금수령한도 내에서 연금수령 연금개시신청 필수
연금수령 한도 연금계좌의 평가액은 연금수령 개시 신청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에는 연금수령 개시일로, 이후에는 과세기간 개시일 기준으로 매년 재계산되며, 연금수령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은 연금 외 수령으로 간주됩니다.
연금수령연차는 적립기간 5년 이상과 만55세가 충족되어 최초로 연금 수령할 수 있는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을 기산연차로 하여 그 다음 과세기간을 누적 합산한 연차를 말합니다. 단, 2013년 이전 가입한 연금저축은 연금수령연차를 6년 차부터 시작합니다.
연금의 수령 연금수령 요건 이외의 자금 인출(연금수령개시 전 중도해지) 및 연금수령 한도 초과 인출
일부인출 과세제외금액 중 세액공제한도 초과금액 내에서 일부 인출 가능
세액공제 당해연도 납입액(한도 400만원, 단, 총급여 1억2천만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1억원 초과자는 300만원)의 12%(해당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이 4,000만원 이하이거나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인 거주자에 대해서 15%) 해당하는 금액을 가입자의 해당 과세기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함.(단, 적립기간 중 자산배분 ETF 활용 중도해지시 해지 신청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납입액에 대해서는 세액공제 불가)
가입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이전 과세기간에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에 납입한 것으로 간주하여 세액공제 가능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연금 저축 펀드
다음은 Bing에서 연금 저축 펀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