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의 기간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과거 기준순환일에서의 경기순환시계 화면보기

경기순환시계란?

주요경제지표들이 순환국면(상승, 둔화, 하강, 회복)상 어느 위치에 와 있는지를 사분면 좌표평면상에서 시계처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이다.

* 경기순환시계는 네덜란드 통계청의 추세의 기간 기본적인 개념을 근간으로 작성ㆍ개발 되었다.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제지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을 감안하여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래픽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들이 경제지표들의 상황을 한눈에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지표 및 경기순환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순환시계의 작동원리

경기순환시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계열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계절조정계열을 산출 (계절성을 X-13-ARIMA-SEATS 이용하여 계절변동 제거)한다.
  2. 계절조정된 계열에서 추세변동요인을 추출한다.
  3. 추세가 제거된 순환ㆍ불규칙 변동요인에서 순환변동요인을 추출한다.
  4. 추출한 순환변동요인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표준화된 시계열 (평균 0, 표준편차 1)로 변환한다.
  5. 경기순환시계의 Y축의 좌표는 추세선으로부터의 편차(deviation, 순환변동요인 값), X축은 시점간 순환변동요인 값들의 크기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전월대비 증감을 의미한다.
  6. 경제지표로부터 순환변동계열을 추출한 후 그 전월차(X축)와 순환변동계열(추세이탈정도)을 (X,Y) 좌표평면에 나타낸 것이다.

경기순환시계는 4분법에 의해 경기순환국면을 파악하고 있다 .

4분법은 추세수준(A)에서 정점(B)까지를 상승국면, 정점(B)에서 추세수준(C)까지를 둔화국면, 추세수준(추세의 기간 C)에서 저점(D)까지를 하강국면, 저점(D)에서 추세수준(E)까지를 회복국면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 경기순환국면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이분법과 사분법이 있다. 이분법은 경기저점에서 정점까지 경제활동이 활발한 확장국면, 경기정점에서 저점까지 경제활동이 위축된 수축국면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순환변동계열과 경기순환시계 설명이미지

경기순환시계에서 X축은 순환변동치의 전월대비증감을 나타내고, Y축은 순환변동치(추세이탈정도)를 나타낸다.

경기순환시계를 작동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1영역] 상승국면(녹색 사분면) → [2영역] 둔화국면(주황색 사분면) → [3영역] 하강국면(빨간색 사분면) → [4영역] 회복국면(노란색 사분면) → [1영역] 상승국면(녹색 사분면) … 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영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영역] 상승국면 (녹색 사분면) : 경제지표(순환변동치)가 전월대비 증가, 추세상회 [2영역] 둔화국면 (주황색 사분면) : 경제지표(순환변동치)가 전월대비 감소, 추세상회 [3영역] 하강국면 (빨간색 사분면) : 경제지표(순환변동치)가 전월대비 감소, 추세하회 [4영역] 회복국면 (노란색 사분면) : 경제지표(순환변동치)가 전월 대비 증가, 추세 하회

경기순환시계의 이용방법

경기순환시계 코너는 시계화면, 시계작동 조정단추, 지표선택화면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단의 시계작동단추에서 재생단추(뒤로, 앞으로)를 이용하면 지표들이 경기국면상의 사분면 위를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선택단추에 따라 이전월, 다음월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정지, 반복재생을 선택할 수 있고, 움직이는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시계화면 상단에 선택된 연월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의 지표선택화면에서 지표명 앞의 체크박스 기능을 이용(예: )하면 자신이 원하는 지표들만의 위치와 움직임을 볼 수 있다. 또한, 우측하단의 눈금표시 ( )를 통하여 X축과 Y축의 눈금(값)을 표시할 수 있다.

통계표( )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지표의 KOSIS 화면으로 연결되며, 버튼은 해당지표에 대한 간략한 설명자료이다.

과거 기준순환일에서의 경기순환시계화면 이미지

* 과거 기준순환일에서의 경기순환시계 화면보기

과거 기준순환일에서의 경기순환시계 화면보기를 클릭하면 과거 기준순환일을 보여주는 표가 펼쳐진다. 이는 우리나라의 과거 정·저점들에서의 시계화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표 안의 특정 정·저점을 클릭하면 특정 시점의 시계화면이 보이며, 해당 시점(정·저점)에서 개별지표들이 사분면의 어디에(어느 국면)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기순환시계를 통해 본 최근 주요경제지표들의 움직임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락하는 모습 ⇒ ’08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대부분의 지표들이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2009년 상반기) 위기에서 빠른 속도로 회복하는 모습 ⇒ ’09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동안 대부분의 지표들이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순환변동요인이란?

일반적으로 경기지표는 아래의 네 가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경기적요인
경기적요인

경기순환시계에서는 이들 요인 중 계절 및 불규칙요인과 추세요인을 제거한 순환변동요인이 이용된다.

기준순환일이란?

경기국면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기전환점으로, 확장국면에서 수축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정점(Peak)과 수축국면에서 확장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저점(Trough)이 있다.

기준순환일은 각종 경기조절대책의 경기대응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는 기준 및 개별 경제지표들을 선행, 동행, 후행 지표로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또한, 경기순환 특성과 경기변동 행태를 연구하는데 기본적 판단 근거가 된다.

우리나라의 기준순환일은 통계청에서 GDP, 광공업생산 등 개별지표와 경기지수의 움직임을 분석한 후,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공식적으로 결정, 발표되고 있다.

보고서의 위험 추세 이용

자산에서 취약점이 검색되고 기존의 취약점이 해결되거나 보고서에서 삭제되면서 위험은 시간에 따라 변화합니다. 시스템 구성이 변경되면서 자산 또는 사이트의 추가나 삭제도 시간에 따라 위험에 영향을 미칩니다. 취약점으로 인한 자산의 손상은 조직의 재정, 개인 정보, 정부 기관 규정 준수 상태 및 평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위험 추세를 추적하면 이러한 부분에서 조직이 직면한 위험을 진단하고 취약점 관리 조치가 위험을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하거나 줄이기에 충분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험 추세를 통해 자산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과 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전략에 따라 평균 위험 또는 총 위험에 기반해 추세 데이터를 지정할 수 추세의 기간 있습니다. 평균 위험은 보고서 데이터 범위에 있는 자산의 위험 지수 계산에 기반합니다. 예를 들어 평균 위험은 익스플로이트에 대한 자산의 취약도가 높은지 낮은지 또는 변동이 없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합니다. 총 위험은 특정 기간 동안의 자산의 취약점 지수 합계입니다. 위험 전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험 지수에 따라 우선 순위 지정을 참조하십시오.

시간이 지나면 조직의 자산에서 추적된 취약점은 보고서에 반영되었을 수 있는 위험을 나타냅니다. 보고서에 있는 위험 추세를 통해 해결되거나 제외된 취약점이 조직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험 추세는 개요 또는 사용자 지정 보고서에서 보고 기간 동안 위험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보여주는 색깔 있는 선 그래프의 세트로 나타납니다.

개요 보고서에 위험 추세 포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에 포함될 위험 추세 선택을 참조하십시오.

위험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

자산의 변화는 위험 추세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그룹에 자산이 추가되면 이러한 각각의 자산에 문제 해결을 위해 아직 고려되지 않았으며 익스플로이트가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취약점의 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위험 추세를 활용하면 예를 들어 자산이 추가되면서 전체 위험 추세가 급속히 상승할 때에도 전반적인 자산당 위험도는 변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자산이 추가된 날짜 이후 이러한 자산과 관련된 모든 취약점이 해결될 때까지 위험도는 증가합니다. 취약점이 해결되거나 스캔에서 제외되면 사용자 데이터의 위험 그래프는 감소 추세를 나타냅니다.

위험 전략이 변경되면 위험 추세 보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몇몇 위험 전략은 위험 데이터 확인 시 시간 경과 요소를 추가합니다. 이러한 시간 기반 전략은 해당 기간에 실행된 새로운 스캔 및 추가된 자산 또는 취약점이 없는 경우에도 위험을 표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1페이지에서 보고서에 포함될 위험 추세 선택 보고서에 포함될 위험 추세 선택을 참조하십시오.

위험 추세 반영을 위한 보고서 구성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위험 추세를 표시하도록 보고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조직에 있는 익스플로이트가 가능한 취약점의 추세를 나타내는 개괄적인 위험 추세 보고서를 위해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을 선택합니다. 익스플로이트가 있는지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에도 어느 정도 수준의 위험은 있지만 이런 취약점의 위험도 계산 값은 훨씬 작습니다. 위험도가 가장 높은 그래프는 사이트, 그룹 또는 자산의 수준에서 가장 큰 위험 요소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그래프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요소를 보고서의 범위에 포함된 여러 자산 수집 방법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위험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注意: 선택된 템플릿이 ‘개요’ 또는 ‘위험 추세’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고서 구성 패널의 고급 속성 페이지 에 있는 위험 추세 설정 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보고서 구성을 보고서 구성 패널의 범위고급 속성 페이지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구성 설정의 범위 페이지에서 위험 추세 그래프에 포함될 자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급 속성 페이지에서 보고서 범위의 어느 자산 집합에 있는 위험 추세 그래프에 추세의 기간 자산을 포함시킬 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의 모든 범위에서 자산에 대한 위험이 시간에 따라 변화된 방식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를 생성하면 모든 자산 위험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방식, 보고서에서 자산 범위의 변화 방식 또는 이 두 가지 모두를 표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두 개의 y 축에 표시됩니다. 보고서 범위가 보고 기간 동안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는 보고 기간 동안의 자산 수 추세 또는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에 대한 평균 위험 지수 추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 추세를 표시하려면 두 가지 추세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해야 합니다.

보고서 범위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사이트나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 그룹 또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에 대한 위험 추세 그래프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보고서 범위에 사이트 또는 자산 그룹이 포함된 경우에만 사이트 또는 자산 그룹 추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각각의 그래프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개체로 구성된 각각의 자산, 그룹 또는 사이트에 대한 추세 선을 표시합니다. 사이트 및 그룹에 대한 추세 그래프의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모든 자산의 총 위험 지수 또는 각각에 해당하는 자산의 평균 위험 지수에 대한 위험 추세 선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평균 위험 지수 또는 자산 수를 그래프에 포함시키려면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을 선택한 후 총 위험 지수를 지정하고 범위 추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위험 추세 보고서에 추세의 기간 필요한 세부 수준에 따라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사이트,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 그룹,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보고서의 데이터 범위를 설정하면 보고서의 위험 추세 보고 기간이 설정됩니다.

ヒント: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의 사이트, 자산 또는 자산 그룹을 보고서에 포함시키면 문제 해결 작업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자산 그룹의 구성원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위험 데이터가 특정한 기간 동안 자산 그룹 구성원에 기반하도록 설정하려면 보고서 구성 패널의 고급 속성 페이지에서 기간별 자산 그룹 구성원을 선택해 자산 그룹 구성원 내역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보고서 생성 시 자산 그룹 구성원을 선택해 보고서가 실행될 때 각각의 위험 데이터 포인트가 선택한 그룹의 구성원인 자산에 기반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산 그룹이 생성되기 전의 데이터 범위에 대한 위험 추세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포함될 위험 추세 선택

위험 추세 보고서를 보고서에 포함시키려면 보고서 범위에서 자산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할 자산 선택을 참조하십시오.

보고서에 위험 추세가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방법:

(선택 사항) 사용자 지정 보고서 템플릿을 생성해 위험 추세 섹션을 포함시킬 수도 있습니다.

  1. 보고서 구성 패널의 고급 속성 페이지로 갑니다. 보고서에 포함시키려는 하나 이상의 추세 그래프를: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사이트,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 그룹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 중에서 선택합니다.

기간별 자산 그룹 구성원을 보고서에 포함시키려면 보고서 구성 패널의 범위 페이지에서 하나 이상의 자산 그룹을 선택했는지 및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 그룹 그래프를 선택했는지 확인합니다.

  1. 위험 추세 날짜 범위를 설정합니다. 지난 1년, 지난 6개월, 지난 3개월, 지난 1개월 또는 사용자 지정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 사항) 사용자 지정 날짜 범위를 설정할 때 보고서 생성 날짜를 종료 날짜로 사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고서에서 고정된 사용자 지정 시작 날짜를 설정하고 보고서가 실행될 때마다 가장 최근의 위험 데이터에 따라 추세 기간을 동적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s_report_config_risk_trends.jpg

위험 추세 그래프는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에 개요 보고서에 포함됩니다. 보고서에서 위험 추세 이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에 포함될 위험 추세 선택을 참조하십시오.

위험 추세 추적 활용 사례

위험 추세 보고서는 개요 보고서에 속한 보고서로서 제공됩니다. 이 보고서는 사용자 조직의 범위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이러한 보고서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위험을 검토해 조직 전체의 위험 추세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거나 자산, 사이트 및 그룹의 하위 세트를 선택하고 이러한 하위 세트의 전반적인 위험 추세 및 위험도가 가장 높은 요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위험 추세 그래프는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을 선택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고서 범위의 모든 자산을 전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 환경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은 각각 5개의 특정한 자산, 사이트 또는 자산 그룹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위험 추세 보고서는 사용자 환경에서 위험이 존재하는 위치를 개괄적으로 알려 줍니다. 가장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전체 위험 추세 보고서와 함께 활용하면 취약점의 위치, 취약점의 기간, 변경 사항이 발생한 위치 및 이러한 변경이 추세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 A는 6개의 자산, 1개의 자산 그룹 및 100개의 사이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체 위험 추세 보고서는 3월부터 9월까지의 6개월간의 데이터 범위에 대한 추세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전체 위험 그래프는 3월에 급증세를 보인 후 나머지 기간에는 안정된 추세를 나타냅니다. 이 전체 보고서를 통해 자산, 총 위험, 평균 위험, 위험도가 가장 높은 사이트, 위험도가 가장 높은 자산 그룹, 위험도가 가장 높은 자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 나타난 급증 추세를 설명하기 위해 위험도가 가장 높은 5개 자산이 포함되었습니다. 3월에는 자산의 수가 5개에서 6개로 증가했습니다. 취약점의 수도 분명히 증가했으며 추가된 자산이 이러한 증가의 원인입니다. 이 자산이 추가된 이후에는 보고서의 위험 패턴이 예상한 대로 일정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평균 추세의 기간 위험 지수를 표시해 보고서 범위에서 자산당 평균 위험에는 변동이 없는 반면 총 위험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세 보고서 기간 동안 자산 범위의 변경 사항을 확인하는 방식은 데이터가 그래프에 표시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Configure the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Teams track their test collateral health to ensure effective continuous testing in a pipeline. For example, teams might track:

  • Test pass percentage
  • Test failures
  • Test duration

With the Test Results Trend widget, you can monitor test trends over a period of time, detect patterns around test failures, test duration, and more, and generate actionable insights.

Example Test Results Trend widget showing pass percentage and test failure for last 7 days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example

In this article you'll learn:

  • The type of insights you can get by monitoring Test Results Trend charts
  • Prerequisites for gaining actionable insights from the Test Results Trend charts
  • How to install and configure the Test Results Trend widget

The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is based on Analytics. Analytics is generally available for Azure DevOps Services and in preview as an extension for Azure DevOps Server 2019. For TFS 2017 and TFS 2018, you can use the Test Results Trend widget.

Insights supported with Test Results Trend charts

With the Test Results Trend charts, you can gain the following insights:

  • Identify if test health is improving over time by monitoring trends of failures and average pass rate on each day
  • Identify long running tests that are impacting a pipeline's efficiency by monitoring the average test duration on each day
  • Identify patterns in test outcomes. Has the test recently started to fail? Or, has the test always failed for the selected period? Or, is the test showing non-deterministic behavior?
  • Obtain insights into specific areas of interest to you based on test file, branch, or stage you own 추세의 기간 by configuring specific filters.
  • Obtain insights into a specific area you test by configuring the widget to focus on a test file, branch, or stage.

Test Results Trend charts require that you set up continuous testing in your build pipeline. To get deeper insights and data you can view the Test Failure report in the pipeline. To learn more, see details Analyze test results.

Prerequisites

To configure the Test Results Trend widget:

  • You must be a member of a project. If you haven't been added as a project member, get added now.
  • Set up continuous testing for your build pipeline. For details, see Run unit tests with your builds.
  • To add a widget to a team dashboard, you need to be a member of the team. You must have Basic access or greater, have dashboard permissions, or be a team admin or project admin. Default settings provide all team members with permissions.
  • Enable Pipelines. If disabled, none of the Analytics widgets for pipelines will display. To re-enable it, see Turn an Azure DevOps service on or off.
  • Enable Test Plans. If disabled, the Test Results Trend widget displays an "Access not supported" error message. To enable test plans, see Turn an Azure DevOps service on or off.
  • You must be a member of a project. If you haven't been added as a project member, get added now.
  • Set up continuous testing for your build pipeline. For details, see Run unit tests with your builds.
  • Have installed the Analytics Marketplace extension. You must be a member of the Project Collection Administrators 추세의 기간 group to add extensions.
  • To add a widget to a team dashboard, you need to be a member of the team. You must have Basic access or greater, have dashboard permissions, or be a team admin or project admin.
  • Enable Pipelines. If disabled, none of the Analytics widgets for pipelines will display. To re-enable it, see Turn an Azure DevOps service on or off.

Configure the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You can configure your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to show results for either build or release pipelines.

From your team's dashboard, select the actions icon for the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you want to configure and select Configure.

Modify the Title and select either Build or Release for the type of Pipelines that you'll select.

Test Results Trend (Advanced) widget configuration panel

Select the plus icon to add one or more pipelines.

Next, select the Period, and then choose the metrics that you want to track. Optionally, apply filters for Branch, Test file, Owner, and Test run.

Select Save when you're done.

The following image shows a chart with pass rate and test results for last seven days.

추세의 기간

이 세상의 모든 유행, 시세 등을 암시하는 지표에는 모두 추세(Trend)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이 추세에 맞추어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며 한 시대를 살아가는 모습은 이 추세대로 어느 정도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고 있는 부동산 또한 요즘의 추세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식시장의 주가 또한 일정 기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추세를 이루며 움직이는 습성이 있기 마련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추세는 상승과 하락이 있으며 또한 얕은 상승과 하락을 계속하여 반복하게되는 횡보하는 구간에서 평행한 추세를 이루기도 합니다.

추세의 변화

이미 만들어진 추세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실제 상승 추세였던 주가가 언제 하락 추세로 전환될지 그리고 얼마나 평행 추세에서 횡보를 하게 될지는 그 주식종목을 좌지우지하는 세력들의 영역이기 때문에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가격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게되는데 상승 추세에서는 더 높은 고가와 더 높은 저가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며 정점을 계속하여 갱신하게 되고 하락 추세에서는 더 낮은 저가와 더 낮은 고가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며 저점을 계속하여 갱신하게 됩니다.

이런 추세가 유지가 되지 않고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 또는 하락에서 평행으로 전환 또는 평행에서 상승으로 전환하는 것을 추세가 반전(reversal)되었다고 합니다.

▷추세 기간

추세를 파악할 때는 사람마다 보는 기간 자체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투자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기간 설정은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가게 되어있습니다.

자신에게 수익을 안겨줄 기술적분석을 위해서는 열심히 쳐다보면서 기간을 설정해보고 여러 케이스별로 매매를 테스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를 하는 방법에는 장기 투자와 중기 투자 그리고 단기 투자가 분류되듯이 추세도 장기 추세, 중기 추세, 단기 추세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장기 추세는 보통 1년 이상으로 분류하고 중기 추세는 1M~6M(월) 그리고 단기 추세는 일자의 관점에서 1M이하의 추세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투자 방법에 따라 추세의 기간도 동일하게 가져가는 것이 추세를 파악하기에 유리합니다. (장기 투자 -> 장기 추세)

▷추세선. 지지와 저항

추세선은 고점과 고점을 연결하거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의 방향으로 추세를 파악하는 선을 그리는 간단한 기술입니다.

단순하지만 매매에 참조하면 높은 확률로 성공적인 매매를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기술입니다.

상승추세선은 저점과 저점을 이은 지지선을, 하락추세선은 고점과 고점을 이은 저항선을 그리며 평행추세선은 횡보하는 경우 저항선과 지지선이 평행선을 그리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추세선은 중요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상승추세선은 주가가 계속 상승할 추세의 기간 수 있는 지지선이자 하락추세선은 주가가 계속 하락할 수 있는 저항선입니다.

지지선 은 주가가 일정 수준으로 내려오면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려고 하는 지점을 이은 선입니다.

저항선 은 주가가 일정 수준까지 올라가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점을 이은 선입니다.

이렇게 추세선이 그려지면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추세선 상에서 움직일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추세는 언제든지 반전될 수 있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