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텀 지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가격이 추세의 끝에 닿으면 모멘텀이 정점을 만든 다음 방향을 바꿉니다. 이것은 가격 추세가 미래에 반전될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합니다.

8.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현재 인텔리퀀트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분석 지표 함수는 아래와 같이 추세 지표, 모멘텀 지표, 변동성 지표, 시장강도 지표로 나누며, 자세한 사항은 도움말 API 레퍼런스의 Stock 객체(https://intelliquant.co.kr/help/ref/1) 부분을 참고해주세요.

※ 모든 기술적 지표는 수정주가를 기반으로 계산된 값입니다.

1) 추세 지표

  • MA (Moving Average, 이동평균) - getMA(period)
  •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이동평균) 모멘텀 지표 - getEMA(period)
  • WMA (Weighted Moving Average, 가중이동평균) - getWMA(period)
  •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이동평균수렴확산) - getMACD(fast, slow, signal)
  • ADX (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평균방향운동지수) - getADX(period)

2) 모멘텀 지표

  • Stochastics (스토캐스틱) - getStochastic(fastK, slowK, slowD)
  • Williams%R (윌리엄스%R) - getWilliamsR(period)
  • CCI (Commodity Channel Index, 상품채널지수) - getCCI(period)

3) 변동성 지표

  • Bolinger Band (볼린저밴드) - getBolingerBand(period, devUp, devDown)
  • True Range (트루레인지) - getTrueRange()
  • ATR (Average True Range, 애버리지 투루레인지) - getATR(period)
  • Parabolic (파라볼릭) - getParabolic(acc, max)

4) 시장강도 지표

  • OBV (On Balance Volume, 누적균형거래량) - getOBV()
  •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 getRSI(period)

아래 예제는 추세 지표들 중에 하나인 이동평균 수렴확산(MACD) 지표를 이용하여 해당 종목을 매수/매도하는 방법입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한 종목의 MACD 값과 Signal 값을 비교하여 MACD가 Signal을 하향 돌파(데드크로스)하면 매도, Signal을 상향 돌파(골든크로스)하면 매수하게 됩니다.

Binomo에서 모멘텀 지표로 거래하는 방법

Binomo에서 모멘텀 지표로 거래하는 방법

Binomo에서 모멘텀 지표로 거래하는 방법

특정 기간 동안 금융 상품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적 지표를 모멘텀 지표라고합니다. 현재 값과 과거 값을 비교하여 가격 움직임의 속도를 추정합니다. Momentum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어떻게 변동하는지 이해하고 거래에 대한 견고한 기반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모멘텀이 추세 반전 신호를 주는 신호

Binomo에서 모멘텀 지표로 거래하는 방법

가격이 추세의 끝에 닿으면 모멘텀이 정점을 만든 다음 방향을 바꿉니다. 이것은 가격 추세가 미래에 반전될 것임을 나타내는 모멘텀 지표 신호를 생성합니다.

추세 지속 신호

이것은 당신이 그것을 인식하기 전에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한 신호입니다.

가격과 지표의 다이버전스(divergence)라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가격은 앞으로도 거의 계속 오를 것입니다. 가격이 상승하거나 횡보할 때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지만 모멘텀이 약세의 조짐을 보일 때를 의미합니다.

가격이 하락 추세에 있지만(가격이 하락하거나 옆으로 움직이고 있음) 모멘텀은 강세 추세에 있습니다.


Binomo에서 모멘텀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

모멘텀 지표를 선택하십시오.

모멘텀이 계산한 양초의 수입니다.

그런 다음 색상을 설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적용을 클릭하여 완료합니다.

ScienceON Chatbot

금융시장에서 효율적 시장 가설로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이례현상이 등장하면서 90년대 초반 '행태 재무학'이 대두되었다. '행태 재무학'을 통해 투자자들의 행동 요인이 분석되기 시작하였고, 이례현상으로만 여겨지던 '모멘텀 효과'도 함께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모멘텀'이라는 단어는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뜻하는 물리학 용어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주가 추세의 가속도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시점 구간의 수익률과 미래의 수익 기대감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초과 수익을 기대하는 .

금융시장에서 효율적 시장 가설로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이례현상이 등장하면서 90년대 초반 '행태 재무학'이 대두되었다. '행태 재무학'을 모멘텀 지표 통해 투자자들의 행동 요인이 분석되기 시작하였고, 이례현상으로만 여겨지던 '모멘텀 효과'도 함께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모멘텀'이라는 단어는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뜻하는 물리학 용어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주가 추세의 가속도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시점 구간의 수익률과 미래의 수익 기대감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초과 수익을 기대하는 전략을 모멘텀 투자전략(momentum strategy)이라고 한다.
Jegadeesh and Titman(1993)의 연구 이후 모멘텀 전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국제 주식시장지수, 각종 산업 지수에서도 모멘텀 현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통화 시장, 상품 시장 등 모든 자산 군에서 '모멘텀 효
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물론 모멘텀 전략은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으며, 경제가 상승 국면에 진입하게 되면 모멘텀 전략은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모멘텀 전략은 중장기 경제 추세의 경향성을 기반으로 투자하는 전략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의 일별 등락 혹은 증시의 단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은 단기적으로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주식시장의 과잉 반응을 유발하지만, 시장은 평균적으로 원래 가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회귀적 습성이 있기 때문에 급락 이후 급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중장기적 특성을 지닌 '모멘텀 포트폴리오'의 경우 단기적 회귀 반응을 관리하는 프로세스가 없이 일정 기준에 따라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시장의 등락을 확인할 수 있는 ADR(advance decline ratio) 지수를 활용하여 과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총 5년의 KOSPI200, KOSDAQ150의 ADR 지표 데이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ADR 변수를 모멘텀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새로운 '모멘텀 보정 전략'을 수립하고, ADR을 반영한 모멘텀 전략을 통해 단기 노이즈를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보정 전략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Abstract

The emergence of various anomalies in the financial market,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as an efficient market hypothesis, led to the emergence of 'behavioral finance' in the early 1990s. 'Behavioral finance' began to analyze investors 'behavioral factors, and Momentum effect, which was considered .

The emergence of various anomalies in the financial market,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as an efficient market hypothesis, led to the emergence of 'behavioral finance' in the early 1990s. 'Behavioral finance' began to analyze investors 'behavioral factors, and Momentum effect, which was considered an anomaly, was also drawing attention. The word 'momentum' is a physics term for momentum or acceleration, but in the stock market it is used to describe the acceleration and direction of the trend.
The strategy for expecting excess profit is called a 'momentum investment strategy', assuming that the rate of retur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future revenue expectations are correlated. After Jegadeesh and Titman's study, vari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momentum strategy, confirming momentum phenomena not only in the US stock market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Stock Market Index and various industry indices.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the stock marke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mentum effect' in all categories of assets, including the currency market and commodity market. Of course, var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omentum strategy' has also been paying off in the Korean stock market. Momentum strategies have proven to be more effective when the economy enters an upward phase.
Momentum strategy is an investment strategy based on the trend of mid - to long-term economic trends.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a lack of processes for responding to daily fluctuations in the 모멘텀 지표 market or short-term events in the stock market. The asymmetry in information generates confusion in the short term and causes excess responses in the stock market. However, the market tends to return to its original value on average, which often results in a sharp jump after a sharp fall. For the 'Momentum portfolio' with mid - to long-term characteristics, there is no process for managing this short-term regression. This paper will use an ADR (advance decline ratio) index to identify market fluctuation. ADR index data for the past five years from 2013 to 2017 at KOSPI200 and KOSDAQ150 will be used to identify when stocks were purchased and sold.

[기술적보조지표] 모멘텀 지표(Momentum) 가격추세의 속도를 측정해주는 선행지표

- Momentum은 단기간 동안에 가격이 변해 온 양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모멘텀은 시장의 과매입 과매도 상태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로써 일정기간도안의 가격상승, 하락의 정도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모멘텀 수치가 최대+치로 상승하였을 때는 시장의 과매입 상황임을 알려주고 최대 -수치로 하락했을 모멘텀 지표 경우에는 과매도 상황을 알려준다.

- 또한 모멘텀은 시장추세의 지지력 정도를 알려준다. 모멘텀이 양수로써 계속 커질 경우에는 가격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크기가 계속 작을 경우에는 추세전환을 암시한다.

즉 모멘텀이 양수에서 음수로 전환될 때 매도포지션을 취하고 반대로 음수가 양수로 전환될 때는 매입포지션을 취한다.

Momentum이 저점에서 상승 전환될 때 매수하고 정점에서 하락 전환될 때 모멘텀 지표 매도한다. 가격의 추세와 모멘텀 사이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조만간 추세의 반전이 발생하리라는 표시가 됩니다.

차트분석법은 시장가격의 움직임에 대한 해석을 위주로 이루어진다. 현재 시장가격의 움직임을 살펴서, 현재의 가격흐름을 분석하고 이러한 흐름 안에서 시장가격이 기존의 추세를 따라 갈 것인지 아니면 추세반전으로 이어질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얼마나 상승하여야 충분히 상승한 것인가라는 의문점에 차트분석은 구체적인 지표(Technical Indicator)로서 크게 추세 추종적 지표(Trend Following Indicator)와 과매입, 과매도 지표(Overbought/Oversold Indicator)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과매입, 과매도 지표 중 그 기준으로 삼고 있는 개념이 바로 모멘텀 지표 모멘텀(Momentum)이다.

모멘텀이라는 개념을 기본 원리로 하여 만든 과매입, 과매도 지표들을 일반적으로 진동지표(Oscillators)라고 하는데 모멘텀 개념자체를 하나의 지표로서 간주하여 모멘텀 지표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이 경우의 모멘텀 지표는 변화율 지표(Rate of Change Indicators)의 한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진동지표와 함께 가격변화의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s)로 여겨지고 있다.

선행지표로서의 역할과 추세 형성 시 추세의 방향과 속도를 알려주는 유용한 기술적 지표 중의 하나인 모멘텀 지표는 과매입, 과매도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로 더 많이 사용된다. 모멘텀은 현재의 가격에서 일정한 기간전의 가격을 차감하여 산출되므로 수식이 간단하고, 가격의 방향에 따라 가기보다는 가격의 방향이 변하기 전에 지표의 방향이 변하므로 선도지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과매입, 과매도 지표로서의 모멘텀의 원리는 시장 상황에서 오는 반작용(과매입/과매도)을 이용한 것이다. 즉 시장 상황이 비정상적 상태라면 이에 따른 반작용으로 정상적인 상황으로 돌아가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라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모멘텀을 사용할 때는 기간이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인 기간은 12일을 사용하지만 시장의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모멘텀은 기간에 따라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기간을 짧게 설정할 경우 잦은 매매신호로 인해 손실을 볼 수 있으며 반대로 기간을 길게 설정할 경우는 변화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적당한 매매 타이밍을 찾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image.png

- 모멘텀의 개념은 Oscillator분석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이며 기본 원리이다. 모멘텀은 실제 가격수준 자체에 대하여 측정하는 것이 아니며, 가격의 변화율(Rate of Price Change)을 측정하는 것으로 10일 모멘텀 선을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종가로부터 10일전의 종가를 빼주면 된다.

이 값은 양(+)의 값과 음(-)의 값을 갖게 되는데 만일 현재의 종가가 10일전의 종가보다 높을 경우 모멘텀 값은 양이 되고 이는 현재의 시장이 10일전의 시장보다 상승한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 모멘텀 지표 현재의 종가가 10일전의 종가보다 낮을 경우 모멘텀 값은 음이 되고 이는 현재의 시장이 10일전의 시장보다 하락한 경우를 나타낸다. 10일 모멘텀의 계산된 값은 해당 코인가격이 10일간 상승하거나 하락 할 수 있는 최대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매매신호

image.png

모멘텀은 0선을 기준으로 움직인다. 트레이더들은 모템텀으 매매신호르 0선을 기준으로 0선 돌파는 매수신호, 0선 이탈은 모멘텀 지표 매도신호로 이용한다.

하지만 이런 신호만을 따르게 되면 우리는 추세와 역행하는 매매를 할 가능성이 있다. 0선돌파시 매수신호를 따르기 위해서는 상승추세를 확인해야 하며 0선 이탈 시 매도 신호는 하락추세를 확인 해야 한다. 일봉이상 차트로 추세를 확인하여 역행하는 매매 신호는 무시한다.

모멘템선이 기준선(0선) 위에 있을때는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격이 상승하지만 모멘텀선이 0선 모멘텀 지표 아래로 떨러진다면 상승의 힘이 약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가격 보다 먼저 움직이기 때문에 선행지표이다 .특히 모멘텀은 가격의 추세선보다 일찍 무너지느 경향이 있다. 모멘텀 지표에서 그린 추세선에서 이탈을 시도하면 가격추세선에서의 이탈도 얼마있지 않아 일어 나게 된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