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시황] 잭슨홀 미팅 앞두고 소폭 반등 중인 코스피…외인·기관 ‘팔자’
코스피가 상승 출발한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커진 불확실성에 국내 증시가 뚜렷한 방향성을 나타내지 못한 채 소폭 상승 중이다.
25일 오전 9시 52분 코스피는 전날보다 16.39포인트(0.67%) 오른 2463.84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12.34포인트(0.50%) 오른 2459.79에 출발한 코스피는 같은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이는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가 매도세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은 540억 원, 기관은 61억 원을 순매도 중이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515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0.51%), SK하이닉스(000660)(-0.32%),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24%) 등 시총 상위권 종목은 각기 다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차(005380)(1.60%), 네이버(2.28%), 카카오(035720)(1.20%), 기아(000270)(1.44%) 등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증권가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경계심이 잔존하면서 지수의 상승폭 상단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한다. 다만 일부 경제 지표가 평균방향성지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표되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잭슨홀 미팅 이벤트를 소화한 후에는 상승세로 전환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한지영 키움증권(039490) 연구원은 “지난주 후반 7월 FOMC 의사록 공개 이후 시장 불안이 촉발됐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잭슨홀 미팅 이후 단기적인 시장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며 “잭슨홀 미팅에서 매파 시그널이 최근 가격 조정에 반영되고 있는 수준 이상으로 강화될 가능성을 낮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날보다 5.93포인트(0.75%) 오른 799.07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보다 2.04포인트(0.26%) 오른 795.18에 출발한 뒤 상승폭을 소폭 넓혔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9억 원, 29억 원을 순매도 중이다. 개인은 169억 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한편 간밤 뉴욕 증시는 소폭 상승에 평균방향성지표 성공했다. 23일(현지 시간)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59.64포인트(0.18%) 내린 3만 2969.2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평균방향성지표 S&P)500 지수는 12.04포인트(0.29%) 하락한 4140.7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0.23포인트(0.41%) 평균방향성지표 오른 1만 2431.53에 장을 마감했다.
[굿모닝 증시]"美 증시 약세는 부담"…수출입 지표에 촉각
[이미지 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정윤 평균방향성지표 기자]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우려가 지속되며 미 증시는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80.44포인트(0.88%) 하락한 3만1510.43에,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1.16포인트(0.78%) 낮은 3955.00에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6.93포인트(0.56%) 내린 1만1816.20을 기록했다.
고용시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경제 지표가 나오자 미 증시는 장 초반 상승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75bp(1bp=0.01%) 인상 가능성으로 인해 하락 전환했고 이후 낙폭을 키웠다. 이러한 점은 1일 국내 증시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 본부장 = 미 증시는 ADP 전미 고용 보고서가 발표한 미국의 8월 민간 부문 고용이 시장 전망을 크게 하회하는 수준인 전월 대비 13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자 장 초반 상승했다. 고용이 부진을 보일 경우 인플레이션 하향 안정 가능성에 주목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될 수 있지만 견고한 모습이 나타날 경우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하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15% 하락하면서 하락을 주도했다. 이는 일부 종목이 실적 발표하며 향후 경기에 대한 우려 속 수요 둔화 가능성을 이유로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결과로 추정된다. 일부 평균방향성지표 의류 업종이 글로벌 경기 둔화 및 공급망 불안 이슈로 인해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점도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했다.
또 유로존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가 9%대 상승폭을 기록하면서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7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가뭄과 천연가스 가격 급등으로 인해 공장 가동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돼 ECB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유로존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 증시가 하락 전환 후 낙폭을 키운 것은 국내 증시에 부담이다. 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하락세 지속은 전거래일 반등을 보인 반도체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상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발표될 올해 8월 수출입 통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장에선 수출이 지난달 발표된 전년대비 9.2%보다 둔화된 5.5% 증가를 전망하고 있는데 재고 축적 등을 감안하면 이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입 증가세가 여전해 무역적자 폭이 확대될 수 있어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이를 감안하면 국내 증시는 0.5% 내외 하락 출발 후 물량 소화 과정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 미 증시는 4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이면서 잭슨홀 미팅 이후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용시장의 부진은 Fed에게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의 필요성을 느끼게 만들 가능성은 있다. 그럼에도 Fed는 경기 둔화를 용인하면서까지 인플레이션 대응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발표되는 고용, 소비 등 실물 지표들이 대폭 악화되지 않는 이상 강도 높은 금리 인상 기조는 변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ECB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50bp 인상이 아닌 75bp 인상 가능성까지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로화 약세가 글로벌 달러 강세를 유발하면서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 미국 대형 테크주들의 실적 불안, 신흥국들의 자본 유출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ECB 회의 이후 유로화의 움직임에 따라 전반적인 증시 방향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내 증시는 유럽발 인플레이션 부담, 미 증시 하락세 등 대외 부담 속 전일 기계적인 상승에 따른 일부 되돌림 현상 등으로 인해 약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함께 본 인기 뉴스
장중에는 한국의 8월 수출 무역수지 결과가 국내 수출 업종 주가와 원·달러 환율에 평균방향성지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입 지표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낮아져 있기 때문에 예상보다 양호한 수치로 발표될 시에는 국내증시의 하단을 견조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증시] 美 긴축 공포 우려 지속에 일제히 하락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8.12포인트(0.96%) 하락한 3만1790.87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4.45포인트(1.10%) 내린 3986.1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34.53포인트(1.12%) 빠진 1만1883.14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발언에 따른 금융시장 충격파가 지속되며 하락했다. 특히 미국의 일자리 증가 소식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공격적인 금리 인상 경로를 평균방향성지표 유지할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자극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노동부가 공개한 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의 7월 구인 건수는 약 1120만 건으로 전월보다 소폭 늘었다. 이에 미국 기업들의 노동 수요가 되살아난 가운데 오히려 초과 수요 현상이 강화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완화되지 않을 거란 진단이 나온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의 창업자인 탐 에세이는 마켓워치에 “실제로 구직 중인 사람들보다 일자리가 수백만 개 더 많이 있다”며 “한편으로는 실업률을 높여야 노동 시장의 균형을 되찾는 측면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임금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며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더 구조적인 것을 만들게 되며 이는 더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하는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3.2로 집계되며 월가 예상치와 전월치를 크게 상회했다. 이 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는 전월 95.3을 크게 상회했으며, 팩트셋이 조사한 경제학자들의 예상치인 97.4 보다도 높았다.평균방향성지표
린 프랑코 콘퍼런스보드 경제지표 부분 선임 디렉터는 “인플레이션 우려는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앞으로 8월 소비자신뢰지수 개선이 지출을 지지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과 추가 금리 인상 우려는 여전히 단기적으로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연준 위원들의 발언도 이어졌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준이 약 3.5%의 정책 금리를 유지해야 할 것이며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내년에도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이날 웨스트버지니아에서 한 연설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목표 범위로 낮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이 예상한 대로 빨리, 또는 고르게 하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새로운 데이터가 인플레이션이 분명히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경우 연준은 최근 75bp 인상을 되돌릴 수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목표 2%까지 낮추는 것이 반드시 심각한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평균방향성지표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9월 연준 회의에서 3번 연속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74.5%로 보고 있다.
여기에 투자자들은 치솟는 금리에 대해 긴장하고 있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45%대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올해 고점을 넘어선 수준이다. 지난주 잭슨홀 심포지엄 이후 파월 의장의 매파 발언에 2년물 국채수익률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 부근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은 다음달 2일 나올 미국 노동부의 비농업 고용 지표를 주목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8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31만8000 명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이는 7월의 52만8000개에서 감소한 것이다. 고용 시장 냉각은 연준이 천천히 금리 인상 브레이크에서 발을 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 좋은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달러는 히릭헸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지수)는 전장보다 0.03% 내렸으며 유로는 달러 대비 0.24% 상승한 1.0021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우려가 완화된데다 이란 핵합의 복원이 임박했을 가능성에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5.37달러(5.5%) 하락한 배럴당 91.64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 22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지난 7월 12일 이후 하루 하락폭이 가장 컸다.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12월물 금 선물 가격 온스당 13.40달러(0.8%) 하락한 1736.30달러에 마감했다.
[증시 풍향계] 파월, '매파' 본색…변동성 확대 우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 지난주(22∼26일) 환율 급등과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불안감에도 코스피가 크게 요동치지 않았다.
28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26일 2,481.03으로 마쳐 일주일 전인 지난 19일(2,492.69)보다 0.47% 떨어졌다.평균방향성지표
코스피는 지난주 장중 2,430까지 내려갔다가 주 후반 반등해 2,480대를 회복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주식을 사들이면서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지난주 환율이 급등한 점을 고려하면 지수 낙폭은 크지 않은 편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3년 4개월 만에 달러당 1,330원을 돌파한 데 이어 1,340원대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5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이전보다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환율 수준 자체보다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물가 상승 압력과 중간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의 고충이 심해져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등을 평균방향성지표 우려한다"며 기준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장 일각에선 미국의 강한 긴축 기조를 고려할 때 국내 증시가 하락장에서 단기 반등하는 '베어마켓 랠리'를 마무리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특히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나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연설 때문에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재혁 하나증권 연구원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은 긴축 기조 지속이라는 매파적 발언을 (지난주에) 이어갔으며 달러인덱스는 그간의 조정 폭을 전부 만회했다"며 "코스피는 약 30영업일간 11.8% 상승한 베어마켓 랠리를 거쳐 방향성 모색에 들어가 박스권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의 연설로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도 있다.
파월 의장은 잭슨홀에서 "또 한 번 이례적으로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며 "한 번의 물가 지표 개선으론 부족하고 금리 인상을 쉬어갈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 안정을 강조하면서 "당분간 제약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조기 정책 완화는 없다"며 지속적인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이 연설한 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1,000포인트 이상 떨어지는 등 3대 지수가 3%대의 낙폭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이번 주(8월 29일∼9월 2일) 발표될 국내외 경제지표 중 다음 달 1일 공개되는 한국의 8월 수출입 동향에 시선이 쏠린다.
이달 들어 지난 20일까지 무역수지는 102억달러 적자여서 월간 단위로 5개월 연속 무역적자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무역적자는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환율 급등세 속에서 발표되는 수출입 동향이어서 부담감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보다 통화 결정의 바탕이 되는 경제지표에 더 의미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시간 다음 달 2일 밤에 발표되는 미국 고용지표도 관심이다. 고용지표가 나쁘지 않으면 연준 통화정책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8월 고용보고서나 제조업지수 등 지표상 경기가 아직 급격하게 위축되지 않아 연준의 통화 정책 행보는 당분간 물가에 더 방점을 두는 방향을 보여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NH투자증권은 코스피 주간 예상 변동폭으로 2,420∼2,520을 제시했다.
이번 주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와 이벤트 일정은 아래와 같다.
▲ 31일(수) = 한국 7월 산업생산, 중국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유로존 7월 소비자물가
▲ 1일(목) = 한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 한국 8월 수출입동향, 중국 8월 차이신 제조업 PMI, 유로존 8월 제조업 PMI, 미국 8월 ADP 민간고용, 미국 8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