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표 지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곰푸우야

40대 경제적 자유

처음에 일목균형표를 설정하면 조잡한 선들이 너무 많이 보인다. 각 선들마다의 기준이 있고 논리가 있겠지만 다 참고하지 않는다.

필자는 심플한 것을 좋아한다. 딱 볼 것만 본다.

사실 일목균형표도 볼 필요없다. 이동평균선만 잘 설정해 놓고 거래량만 잘 볼 수 있는 수준이 되면 모든 여러가지 지표들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럼 더 심플하게 만드는 작업을 실시하자

일목균형표 설정 이 화면을 보기 위해선 모두 다 알 것이고 전에도 설명했지만 다시 한번 모르는 사람을 위해 설명하겠다.

차트를 보면 91400 1200 -1.30% 487,452 이렇게 써있는 곳 밑에

카카오 종가지수 5 10 20 60 120 선행스팬 . 이렇게 써 있는 데 여기를 누르면 각 지표의 세세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이 뜬다. 휴.

각설하고 대충 지표 숫자는 원래 기존에 나와 있는 설정으로 그대로 두고 구름대 영역 표시 빗금 이라고 써져 있는 곳을 채우기로 바꾼다.

정말 이렇게 친절한 설명에 박수를 부탁드린다. 이걸 못하는 사람이 있어? 라고 하겠지만 있다..

수준 이하로 보지 않는다. 필자도 몰랐다. 그래서 주식강의를 이렇게 다양한 시각에서 하는 것!! 이런 무료주식강의를 공짜로 본다니. 행운!!

그리고 라인설정 메뉴를 클릭!

저기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해제하고 두곳만 남겨 둔다. 뭐 다 체크해 놔도 좋다. 난 정신만 없어서 해놓지 않는다. 저걸 켜놓고 연구해 봤지만 난 잘 모르겠다.

그럼 이렇게 설정하면 나타나는 화면이 짠!

전과 비교해서 한결 깔끔해지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이걸 왜 쓰는 지 보자. 일목균형표의 쓰임은 필자 생각에는 눈에 좀더 확실하게 들어오기 위함인 듯 하다.

사실 이동평균선으로만 판단해도 되지만 이걸 사용하면 차트가 명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럼 이 카카오 차트를 보고 대강 드는 느낌이 있을 것이다. 자 생각해보자!!

저 카카오차트에서 일목균형표가 시사하는 바를 느끼지 못하겠는가??

최근 카카오가 10만원선을 바라보는 데 일목균형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보자.

파란구름 밑에서 놀던 봉차트가 어느새 전환하여 주황색 위에서 놀고 있는 것이 보이지 않나?요.

복습차원에서 120일선(검정선)을 보면 어떠한가?

120일선 밑에서 놀던 봉차트가 이제는 120일선을 지지하고 위로 상승하고 있다.

무슨 의미인지 이제 상황판단이 되는 사람??

그럼 매수를 언제해야 한다? 120일선위에서! 일목균형표 위에서 매수하는 것이다.

그럼 카카오를 예를 들면 지금 들어가도 좋다?? 좋은 건 모르겠고 나쁘지 않다! 적어도 전쟁터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 하락은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말이다.

정말 친절하게 예를 하나 더 들어보자.

요새 제일 핫한 주식 ~? 뭐? SAY SAMSUNG 일목균형표 지표 ZUNZA~!

주황색 자리와 파랑색자리가 명확해 보이고 대충 언제 매수하는 것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든다.

뭐 지금 매수하는 건 자제하자. 120일선 위에 주황색 위에 인데도 떨어지는 구간이 있는데요?라고 물어 본다면 할말이 없다.

주식에 정답이 있다면 난 직장 때려치고 주식하고 놀러다니고 있지 왜 맨날 손님한테 욕 먹으면서 딜러를 하고 있나 자괴감 드네.

주식은 확률로서 접근해야한다. 10개의 주식을 샀을 때 2개를 -5%에 손절한다 쳐도 8개의 주식에서 5% 수익이 나면 된다.

방법은 여러가지다 8개 주식에서 -5%가 나도 2개의 주식에서 +100%가 나면 되는 것이고.

필자는 좀 더 주식에서 바보같은 자리에서 매수하지 말고 좀더 매수세가 더 들어오는 시점에서, 안정된 자리에서 매수하는 법을 알려주고 있다.

이런 주식 지표들을 설정하고 다양한 차트를 돌려 보기 바란다. 돌리다 보면 적어도 매수하면 안되는 자리는 보인다.

그럼 매수를 어디서 해야하나요? 그건 이동평균선 매매할 때 대강 설명했다.

이동평균선과 일목균형표를 적절히 조화시켜 매매에 임하길 바란다. 주식기법이라는 것이 따로 없다. 여러가지 차트를 보면서 본인이 수익이 잘 난다고 생각하면 그게 기법인 것이다.

일목균형표 알아보세요

오늘은 일목균형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볼린저 밴드와 더불어 주식 차트에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그런데 처음 일목균형포를 보셨다면 이것을 해석하는데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천천히 하나씩 일목균형표의 지표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까지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보다 좀더 복잡합니다. 일목균형표란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합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목산인(이치모쿠 산징)이라는 일목균형표 지표 필명을 가진 일본의 주가차트 전문가 호소다 고이치씨가 독자 개발한 하였습니다. 서양의 엘리어트 파동 등이 과거의 가격과 트렌드를 중시하는데 비해 일목균형표는 시간을 주체로 하고 가격은 2차적인 개념에 불과하다는 것에 기초를 둔 분석모형입니다.

2. 일목균형표 설정방법 (나무증권 MTS)
일명균형표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MTS>주식현재가>차트 페이지로 들어간다.
ⓑ 차트설정>오버레이>일목균형표를 체크하고 설정(오른쪽 톱니모양 아이콘)에 들어간다.
ⓒ 기준기간/전환기간/선행1기간/선행2기간/후행기간을 설정하고 하단 밴드 색상을 설정한다.

위와 같이 일목균형표 설정하게 되면 아래 와 같이 3개의 선과 1개의 구름띠(2개의 선이 연결된모양)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개의 선은 각각 전환선/기준선/후행스팬이라 부르고 1개의 구름띠를 만드는 2개의선은 차트 앞쪽에 나타나는 선행스팬 1, 2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각 의미하는 수치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1. 전환선 : (과거 9일간 최고가+과거 9일간 최저가)/2
•2. 기준선 : (과거 26일간 최고가 + 과거 26일간 최저가)/2
•3. 후행스팬 : 오늘 종가를 과거 26일 뒤에 표시(위치, 가격지표)
•4. 선행스팬1 : (전환선+기준선)/2 한 값을 26일 앞에 표시
•5. 선행스팬2 : (52일 최고가 + 52일 최저가)/2 한 값을 26일 앞에 표시

이 중에서 선행스팬1,2가 만드는 구름띠는 매물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름띠가 두껍다면 매물이 두껍게 형성되어 돌파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얇다면 돌파하기가 쉽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름띠는 지지 혹은 저항 구간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매매시 참고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한다면 상승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일목균형표 지표 됩니다.

일목균형표를 활용한 매매방법도 매우 다양하지만 100%는 아니기 때문에 일목균형표 또한 참고 지표로만 활용하시길 권장합니다. 기술적 지표는 맞는 예시로 설명하면 100% 적용이 가능한 것 처럼 보이지만 예외가 너무 많기 때문에 차트를 전문적으로 매매하실 분이 아니라면 크게 필요한 지표는 아닙니다. 차라리 저평가 받고 있는 기업을 찾아서 싼가격에 매수하셔서 버티시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오늘은 일목균형표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각각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이해하셔야 매매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공식처럼 외우기보다는 하나하나 천천히 개념을 이해하시고 접근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너무 어려워도 해야합니다. 지금 안봐도 언젠가는 다시 보게 되있습니다. 어차피 할거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시기를 바랍니다.

일목균형표 지표

프로필사진

곰푸우야

일목균형표 본문

일목균형표

지난 시간까지 주식, 경제에 관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했다면 그중 주식 투자의 일목균형표 지표 기본이 되는 차트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일목균형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 개요

일목균형표는 주가의 움직임을 표현한 5가지의 선으로 이를 이용하여 추후 주가를 예상할수 있는 도구 중 하나로 HTS, MTS 모두 설정이 가능합니다. 일본 주식 전문가인 호소다 고이치(일목산인)가 개발한 것으로 특히 선행성과 후행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주가 예측에 매우 유용합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후행스팬으로 나뉘며 종가로 작성되는 이동평균선과는 다르며 매매타이밍을 포착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주가 흐름 일목균형표 지표 예측에 유리하나 소형주에서는 오류가 많은 편입니다. 일목균형표의 주체는 시간이며 가격은 2차적인 개념으로 서양의 엘리엇 파동 등과는 다른 모형입니다.

일목균형표 구성

일목균형표상 기준이 되는 기준선은 26일간 최저와 최고값 사이의 중간값의 선을 의미합니다. 최근 9일간 최저와 최고 사이 중간을 전환선이라고 합니다. 기준선보다 높을 경우 상승추세, 낮을 경우 하락 추세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매도, 매수세력의 힘의 균형을 알 수 있는 선입니다.. 후행스팬은 현재 주가를 26일 전으로 표기하며,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를 합쳐 그 차이를 표시하는 구름대가 있습니다. 선행스팬 1은 기준선과 전환선의 중간값을 26일 동안 이어놓은 선이고 선행스팬 2는 지난 52일간의 최고, 최저가의 중간값을 26일간 이어 놓은 선입니다. 둘 다 26일을 앞당겨 이어놓은 선으로 같은 위치에서 이동하며 구름대는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며 이들을 지표론이라고도 합니다.

일목균형표 활용

일목균형표는 활용도가 높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나 꽤나 복잡한 지표입니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위로 돌파하면 골든크로스, 반대로 아래로 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기준선보다 전환선이 위에 위치하는 것을 정배열, 반대를 역배열이라고 합니다. 정배열의 경우 상승추세라고 볼수있고 역배열의 경우 하향추세라고 볼 수 있어 이 둘의 교차지점이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일목균형표에서 구름층에 주가가 닿으면 주가는 상승 또는 하락할 수 있는데 구름대의 두께가 클수록 지지나 저항에 대항 강도가 높고 이 구름대를 뚫고 나갈 경우 강한 흐름을 예측할수있습니다. 선행스팬 2가 선행스팬 1보다 아래에 있으면 양운, 반대는 음운이라고 하며 이는 매수와 매도 중 어느 것이 강세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구름대 아래에 주가가 위치하고 있다면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는 방대한 양과 심오한 내용으로 완전히 이해하기란 어렵습니다. 또한 1930년도에 만들어져기에 현대투자시장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 보조지표정도로만 활용할 필요가 있고 일목균형표를 이해해둔다면 주가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기초를 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이를 갖고 확신하기 어렵기에 다른 보조지표나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안전한 투자를 해야 할 것입니다.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지표 의미 코인 해석 보는법 보조지표 차트 보는법 단타 매매

일목균형표

파란색 구름대는 지지를 의미하고 빨간색 구름대는 저항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파란색 구름대에 시세가 형성하고 있으며 이전 파동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이후 구름대가 뚫리는 경우 패닉셀이 유도되어 시세가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통 이러한 경우 숏포지션을 잡는 경우가 있습니다. 빨간색 구름대에 시세가 형성된 경우 이후 패턴에서 구름대를 뚫어주는 모습을 보인다면 급등하는 모습을 기대해 볼수 일목균형표 지표 있습니다.

대부분의 차트 형성 패턴에서 구름대는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변동성을 예측하기 때문에 구름대에 수렴하는 모습을 자주 보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세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추세에서 1차 조정이 보이는 모습 역시 구름대에 수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목 균형표 단점

일목 균형표의 단점은 2가지가 존재합니다.

  • 첫번쨰로는 시세를 조작하는 세력이 있는 종목이라면 이 세력들도 일목균형표 및 구름대의 존재를 알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 심리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이탈 시키는 패턴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장 심리상 구름대에 수렴하기 때문에 정말 관점을 잘 잡으면서 매매를 진행해야 합니다.
  • 두번째로는 과거의 데이터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지표 이기 때문에 맹신하면 안됩니다. 주로 구름대에 시세가 형성된다면 첫번째로는 이전 추세를 분석 해야하며 이후에는 거래량을 관점으로 매매를 해야합니다.

주로 제 포스팅에서 단기적 관점 장기적 관점에서 사용하는 두가지의 보조지표중 하나는 거래량이며 나머지 하나는 일목균형표 입니다. 선물거래를 이용할떄에도 마찬가지로 구름대에 수렴한다는 근거와 패닉셀이 유도되는 모습을 예측하여 진행합니다.

물론 구름대를 사용하면 파동의 갯수, 즉 시장의 변동성 만큼 수익을 얻을수 있지만 정말 기계적인 매매를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시장의 변동성이 클수록 관점이 꾸준히 흔들리기 때문에 잘못하면 양쪽 포지션에서 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이는 선물거래를 이용하는 투자자들 한정입니다.

사실 일목균형표는 선물거래를 진행하는 투자자들에게 조금 더 유리합니다. 낮은 수치의 파동에서 치고 빠지기 쉬우며 숏 포지션을 잡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매매

바로 밑 링크는 바이낸스 회원가입 코드이며 평생 수수료 20% 할인 혜택을 포함 하였습니다.
혹시나 레버리지 선물 혹은 하락에 베팅하는 숏 포지션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가입 부탁드립니다
더 나은 콘텐츠를 제공할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reate a free account | Binance

Register an account with Binance today

페이지

페이스북 페이지 "알고 투자하자" 를 팔로우 하시면
꾸준히 업데이트 되는 글 보실수 있습니다.

채널

새로운 서비스를 론칭 하였습니다,
색다른 콘텐츠를 제작중인 카카오톡 채널
"알고 투자하자" 를 추가해주시면
새로운 분석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